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서두르세요” 2026년까지 결혼하면 정부가 준다는 지원 살펴보니…

문동수 기자 조회수  

정부 ‘2024 세법 개정안’ 발표
결혼 세액공제 혜택 제공
최대 100만 원 지급받아

"서두르세요" 2026년까지 결혼하면 정부가 준다는 지원 살펴보니...
출처: 게티이미지

정부가 혼인신고 하는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부부 1인당 각 50만 원씩, 최대 100만 원의 결혼 세액공제 혜택을 지급에 나선다. 이는 생애 한 번만 공제받을 수 있으며, 재혼일 경우에도 결혼 세액공제 혜택을 받은 적이 없다면 지원받을 수 있다.

지난 7월 기획재정부는 세제발전심의위원회를 열어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2024 세법 개정안’을 공개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결혼 세액공제 적용 시기는 올해 2024년 1월부터 오는 2026년까지 해당한다.

"서두르세요" 2026년까지 결혼하면 정부가 준다는 지원 살펴보니...
출처: 뉴스1

이 기간에 혼인신고를 하면, 같은 해 연말정산 혹은 다음 해 과세표준 신고 시 세액공제가 발생한다. 혜택은 나이를 비롯해 초혼, 재혼 구분 없이 생애 한 번 받을 수 있다.

더하여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이미 올해 혼인신고를 한 신혼부부도, 소급 적용하여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 정정훈 기재부 세제실장은 “소급 적용을 하지 않으면, 올해 하반기에 급격하게 혼인신고가 변화할 것을 우려했다”라며 “통계상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으며 경제의 왜곡도 초래할 우려가 있어서, 소급 적용하는 게 맞다고 생각했다”라고 설명했다.

"서두르세요" 2026년까지 결혼하면 정부가 준다는 지원 살펴보니...
출처: 기획재정부 인스타그램 갈무리

정부의 결혼 세액공제 혜택 지급 소식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큰 화제가 됐다. 결혼을 앞둔 일부 신혼부부들은 뜻밖에 횡재에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실제 기획재정부가 운영하는 SNS인 인스타그램에 한 네티즌은 “올해 결혼해서 다행이야”라는 반응을 남기기도 했다.

국민권익위원회(권익위)에 따르면 평균 결혼 준비 비용은 지난 2020년 4,347만 원에서 지난해(2023년) 5,450만 원으로 약 25% 증가했다. 이는 부동산 비용을 제외한 것이다. 최근 치솟은 물가 탓에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는 비용 걱정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결혼 세액공제 혜택을 도입하여 신혼부부 재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보탠다.

"서두르세요" 2026년까지 결혼하면 정부가 준다는 지원 살펴보니...
출처: 뉴스1

특히 ‘2024 세법 개정안’에는 출산을 비롯해 양육 등 민생 회복과 관련한 세제 혜택도 다수 포함됐다.

정부는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와 이자소득 비과세 대상에 ‘세대주 외 배우자’를 추가하여 지원을 확대했다. 이는 결혼 이후 배우자가 받는 청약 주택 공제 및 비과세 혜택이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또한 정부는 1주택을 각각 보유한 남녀가 결혼할 경우 2주택자여도 5년간은 1주택자로 간주하는 기간을 기존 5년에서 10년으로 대폭 늘렸다.

"서두르세요" 2026년까지 결혼하면 정부가 준다는 지원 살펴보니...
출처: 뉴스1

더하여 정부는 결혼에 이어 자녀 세액공제 혜택도 확대했는데, 첫째 기준 15만 원을 지급한다. 이어 둘째 20만 원, 셋째 30만 원으로 책정됐다.

이어 서민 및 중산층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정부는 총급여가 7,000만 원 이하인 근로자에게 수영장·체력 단련장 시설을 이용 시 소득공제를 지원한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공제율은 30%이며, 다른 추가공제를 포함하여 연 300만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다.

또한 고향사랑기부금 한도가 기존 5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세액공제 한도가 연 약 90만 원에서 340만 원으로 변경된다. 더하여 근로장려금 맞벌이 가구의 소득 상환금액을 기존 3,800만 원에서 4,400만 원으로 확대했다.

author-img
문동수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탈당하라”는 나경원 vs “전광훈당 가라”는 안철수... 국민의힘 갈등 수준
  • 프란시스코 교황 선종, 차기 교황은 어떻게 선출할까?
  • 조국혁신당 윤석열 '허위사실공표' 혐의로 경찰 고발했다
  • 김종인이 밝힌 '이재명과 싸울 수 있는 국민의힘 후보', 누구일까?
  • 민주당 경선 90% 득표율 기록한 이재명, 국민의힘 반응은?
  • “윤버지와 식사했습니다” 신당 창당설 취소 후 올라온 사진

추천 뉴스

  • 1
    "내 수업은 어떡하라고" 한국인 교수 미국에서 비자 취소당했다

    오피니언 

  • 2
    “아시아 베네치아라더니..." 외국인들 실망하고 떠난다는 도시

    기획특집 

  • 3
    "매출 3조 넘었는데.." 스타벅스가 높은 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이유

    기획특집 

  • 4
    “1호선 뚫린다더니 진짜였다" 입주 4년 만에 지하철 들어온다는 동네

    기획특집 

  • 5
    ‘1625억’ 잭팟...관세 폭풍 정면으로 뚫었다는 한국 기업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이순신도 박정희도 제쳤다” 전국 동상 랭킹, 1위는 '이 사람’

    기획특집 

  • 2
    “서울도 아닌데…” 전세값만 35억이라는 추자현의 고급 주택, 어디일까?

    기획특집 

  • 3
    "의사하기 싫음 하지 마라" 인력 절벽에 틈새 노리는 직업, 무엇일까?

    오피니언 

  • 4
    “관세 폭탄 맞은 줄 알았는데…” 트럼프 덕분에 새로운 기회 생겼다는 K-뷰티 업계

    오피니언 

  • 5
    "이거 비싸게 주고 샀는데.." 경기 불황에 매출 급감했다는 다이슨

    오피니언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