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악법이라고?” 국회서 ‘간호법’ 통과하니 의사들이 보인 반응

한하율 기자 조회수  

간호법 제정안 국회 통과
앞서 대통령 거부권 쓰기도
의협회장 강한 반발 나서

"악법이다" 국회서 '간호법' 통과하니 의사들이 보인 반응
출처: 뉴스1

지난 2월 의료계와 정부 간 갈등이 촉발한 이후 병원이 심각한 의료 공백을 겪고 있는 가운데 국회에서 ‘간호법’을 통과시키면서 대한의사협회를 비롯해 의사들이 강한 반발에 나서고 있다. 간호법이란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고 간호 노동자의 근무 환경 및 권리 개선을 위한 국가 지원 책임의 내용이 담긴 법안으로 앞서 지난해(2023년) 5월 야당이 주도한 법안에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하여 폐기된 지 1년 3개월여 만에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었다.

28일 국회와 대한간호협회에 따르면 국회 본회의에서 간호법이 통과됐다. 이는 지난 2005년 처음 국회 입법으로 시도된 후 무려 19년 만에 이뤄낸 결과로 대한간호협회는 “역사적 사건”이라며 환영의 입장을 보였다.

"악법이다" 국회서 '간호법' 통과하니 의사들이 보인 반응
출처: 뉴스1

간호법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것을 두고 대한간호협회는 “간호법 국회 통과로 국민의 보편적 건강 보장 실현과 간호 돌봄 체계를 구축해 나가는 길이 열리게 됐다”라며 “우수한 간호인력 양성을 비롯해 적정 배치, 숙련된 간호인력 확보를 위한 국가의 책무가 법제화되었기 때문에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갈 토대가 마련되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한간호협회는 “앞으로 간호법은 국민의 보편적 건강권과 사회적 돌봄의 공적 가치를 실현하며, 보건 의료계의 공정과 상식을 지키는 데에 이바지할 것이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한간호협회는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 개혁에 간호사는 적극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악법이다" 국회서 '간호법' 통과하니 의사들이 보인 반응
출처: 뉴스1

하지만 간호법 제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것을 두고 대한의사협회와 의사들은 강한 반발을 보였다. 간호법 통과로 직역 사이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이에 따른 의료 현장 혼란 발생을 우려한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대한의사협회 임현택 회장은 “간호법은 전공의의 수련 생태계를 파괴하는 의료 악법이다”라며 강하게 비판에 나섰다. 그러면서 임 회장은 “간호법은 간호사가 진단부터 투약 지시, 수술까지 하게 만들어주는 법이다”라며 “불과 1년 전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간호법’ 내용을 그대로 여당에서 주도하여 통과시키는 정부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냐”라고 지적했다.

"악법이다" 국회서 '간호법' 통과하니 의사들이 보인 반응
출처: 뉴스1

또한 임현택 회장은 “전공의 수련 생태계를 파괴하는 악법인 동시에 간호법은 직역 갈등을 심화시키고, 동시에 간호사들조차 위험에 빠트리는 자충수의 법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그는 “정부의 급작스러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으로, 의료 현장에서 의사들을 쫓아내고 간호법을 통과시켜 의사가 할 일을 간호사에게 시키겠다는 정부의 정책은 결코 국민이 원하는 의료가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임 회장은 “간호사들의 불법 의료행위로 인한 피해 신고센터를 운영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28일 현재 임현택 회장은 ‘국민 생명을 구하기 위한 대통령·국회 결단 촉구’를 내걸며 3일째 단식 투쟁을 벌이고 있다.

"악법이다" 국회서 '간호법' 통과하니 의사들이 보인 반응
출처: 뉴스1

대한의사협회를 비롯해 의사들이 반대하는 간호법 제정안의 골자는 간호사가 의사의 수술 집도 등을 보조하면서 의사 업무의 일부를 담당하는 PA 간호사들의 역할을 법제화하여 이들의 의료 행위를 법의 테두리 안에서 보호하는 것이다. 이날 국회는 오후 본회의를 열고 해당 법안을 재석 290명 가운데 찬성 283표, 반대 2표, 기권 5표로 가결하면서 최종 통과를 거쳤다.

이렇듯 의료계 내부에서도 간호법 제정안을 두고 의사와 간호사 간의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의료 공백이 지속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댓글2

300

댓글2

  • 이기적인 의사집단 절대 숙이는일없이 밀고 나가야함. 나라가 무슨 자기들 밥그릇싸움하는곳인줄아나? 그런 사람에게 배운 젊은 또라이들. 돈 천만원 넘는 월급이 적어서 그러는건지? 이것도 2005ㅡ2006년의 월급 도둑놈들

  • Neo

    의사선생님들 이기적 집단행동 그만 하시고 국민 대다수가 원하는대로 어서 병원으로 돌아오세요. 히포크라테스 선서 다 잊으셨나요

[뉴스] 랭킹 뉴스

  • 한때 ‘젊음의 거리’로 발 디딜 틈 없던 상권...현재 상황 처참합니다
  • "월급 빼고 다 오르네" 저가 커피 인상...아메리카노도 가격 올랐다
  • "10억 올라"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가 매입한 46억 건물, 어디길래...
  • "이재명이 승리할 가능성은..."해외 매체가 분석한 윤석열 탄핵 확률
  • '사기' 혐의로 고소당한 홈플러스, 결국 이렇게 됐습니다
  • “긴급히 뵙자” 세 번이나 요청한 이재명, 한덕수가 침묵한 이유는

추천 뉴스

  • 1
    "이재명이 승리할 가능성은..."해외 매체가 분석한 윤석열 탄핵 확률

    뉴스 

  • 2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오피니언 

  • 3
    '사기' 혐의로 고소당한 홈플러스, 결국 이렇게 됐습니다

    뉴스 

  • 4
    “긴급히 뵙자” 세 번이나 요청한 이재명, 한덕수가 침묵한 이유는

    뉴스 

  • 5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 2
    "5월 2일 임시공휴일 확정?" 만우절 가짜뉴스 피해주의보

    뉴스 

  • 3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 의혹에 외교부가 내린 결단

    뉴스 

  • 4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오피니언 

  • 5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국제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