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성심당이 빙수를 6천 원에 파는 건…다 이유가 있었습니다

윤미진 기자 조회수  

성심당 빙수 화제
앵커링 전략 효과적
다른 상품의 매출 증가

성심당이 빙수를 6천 원에 파는 건...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출처 : 성심당 / X

최근 복수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성심당의 빙수 가격이 화제다. 이는 대형 프랜차이즈 기업의 빙수 가격이 1만 원을 훌쩍 넘는 것과 달리 6,000~7,000원 사이의 저렴한 가격에 비슷한 용량의 빙수를 맛볼 수 있어 가성비가 뛰어난 빙수로 꼽히기 때문이다.

특히 평소에도 대기 줄이 길었던 성심당이지만, 빙수 판매 개시 이후 더 길게 늘어선 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성심당은 왜 다른 대형 프렌차이즈들과 달리 빙수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것일까?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정신 나간 성심당 근황’이라는 제목의 글에는 성심당에 붙어있는 팥빙수 메뉴판이 공개됐다. 해당 사진 속 메뉴판에는 ‘전설의 팥빙수’ 6,000원, ‘인절미 빙수’ 7,000원, ‘눈꽃빙수 망고’ 7,500원, ‘눈꽃빙수 딸기’ 6,500원이라고 명시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성심당이 빙수를 6천 원에 파는 건...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출처 : 쓰레드

특히 눈꽃빙수 망고의 가격이 7,500원이라는 점에 네티즌들은 주목했다. 망고 빙수로 유명한 신라호텔의 경우 10만 원대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어 일반 시민들이 사 먹기에는 부담스러운 가격으로 알려졌는데, 이와 비교되는 ‘초가성비’의 가격으로 판매되는 빙수에 이목이 쏠린 것이다.

이어 성심당의 빙수를 먹어봤다는 네티즌들이 속속들이 등장하며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은 뒤떨어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실제로 성심당 빙수에 들어가는 재료의 대부분이 국산으로 확인됐으며, 가공 팥을 쓰는 일부 프렌차이즈들과 달리 직접 국산 통팥을 끓이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런 성심당의 가격 경쟁력을 두고 앵커링 전략을 잘 활용한 사례라고 평가했다. 앵커링 전략이란 다양한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전략 중 하나로, 기존 제품을 통하여 고객들의 인식된 가격을 기준으로 높은 수준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설정하는 전략을 말한다.

성심당이 빙수를 6천 원에 파는 건...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출처 : 호텔신라

즉, 고객들이 제품 사용 이전에 경험한 다른 기준이나 품질을 바탕으로 새로운 제품의 가치를 인식시키는 것을 말한다. 신라호텔의 망고 빙수와 성심당의 망고 빙수가 그렇다. 소비자들에게 잘 알려진 신라호텔 빙수의 가격은 10만 원 선이다.

성심당은 신라호텔 빙수의 10분의 1도 안 되는 가격에 비슷한 품질 혹은 평준화된 품질의 빙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성심당이 제공하는 빙수의 가치가 소비자들에게 높게 평가되는 것이다. 이를 앵커링 전략이라고 말한다. 앵커링 전략은 비교군이 명확한 경우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성심당이 빙수를 6천 원에 파는 건...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출처 : 뉴스 1

빙수라는 제품의 특성상 한 철 장사로 구분되기 때문에 기업이 감당해야 할 마진 부담 역시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효과적인 전략으로 평가된다. 이어 망고 빙수가 성심당의 스테디셀러 ‘튀김 소보로’, ‘명란 바게트’, ‘망고 시루’ 등과 더불어 여름 대표 메뉴로 자리 잡으며 다른 상품의 매출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성심당의 빵 가격은 여전히 합리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맛이라는 측면에서도 오히려 프렌차이즈 제품을 넘어선다는 평가가 이어지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성심당이 빙수를 6천 원에 파는 건...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출처 : X

한편, 성심당의 빙수 가격을 접한 네티즌들은 “사장님이 미쳤어요”, “성심당이 정신 나갔네. 옆집에서는 저걸 10만 원에 판다”, “대기업은 반성해라”, “성심당 때문에 진짜 매번 대전 간다.”, “3시간 기다려도 아깝지 않을 맛” 등의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지난 4월부터 논란이 된 성심당 대전역점의 월세로 인한 의견 차이로 코레일유통과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해결 방안은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 2019년부터 5년간 월 1억 원 수준의 수수료(임대료)를 내고 대전역 2층에서 300㎡(약 91평) 규모 매장을 운영해 온 성심당에 코레일 유통이 ‘4억 원의 수수료를 지급해야 한다’고 요구하자 성심당 측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히며 갈등을 빚어온 것이다. 현재 코레일 유통이 갈등관리 연구기관을 통해 해법을 모색한다고 밝힌 가운데 귀추가 주목된다.

author-img
윤미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억대 연봉 부럽지 않죠" 전직 국회의원도 선택했다는 이 직업
  • '월급 100원' 받고 일하던 남자가 버스에 전부를 걸면 생기는 일
  • "한때 200만 유튜버였는데" 밴쯔 반전 근황 전했습니다
  • “주식까지 저평가될 판”...중견기업 성장의 발목 잡는 이것
    “주식까지 저평가될 판” 중견기업 성장의 발목 잡는 '이것' 정체
  • “가장 기형적인 도시로 통하죠” 부자 도시 대구의 민낯 살펴보니...
  • '아이유 시계'로 유명했던 제이에스티나, 알고 보니 중국산?

추천 뉴스

  • 1
    두 달 만에 '재산 100조' 날아갔다는 일론 머스크, 현재 상황

    국제 

  • 2
    '우유갑 비주얼'로 유명했던 아파트, 현재 얼마나 올랐을까?

    기획특집 

  • 3
    “재벌이 뭐 이래” 도둑도 치를 떨고 나갔다는 ‘구두쇠’ 회장님, 바로...

    오피니언 

  • 4
    국내 최고가 수준 초고급 펜트하우스에 있다는 비밀 공간의 정체

    기획특집 

  • 5
    “워크아웃 1호” 재계 21위 올랐던 대기업이 한순간에 몰락한 이유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소득 많으면 신혼부부 청약 끝?" 1000만원 넘어도 되는 이유

    오피니언 

  • 2
    "10년 기다렸는데…" 서울시가 막았다는 정몽구 회장의 꿈

    기획특집 

  • 3
    "3대 경영 세습 이어왔는데" 현재 상황 처참하죠

    오피니언 

  • 4
    "아직도 배달료 때문에 싸우는 한국" 해외에서는 이렇게 해결했다

    국제 

  • 5
    "분양가의 대부분이 땅값이라고?" 왜 이렇게 됐나 봤더니...

    오피니언 

공유하기

3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