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일가족 목숨 위협..’ 결함 또 터진 싼타페, 결국 차주들만 제대로 폭발

윤미진 기자 조회수  

300km 주행한 신형 싼타페
도로 위에서 돌연 출력 저하
일가족 목숨이 위협 당했다

싼타페-결함
게시물 작성자의 싼타페 / 사진 출처 = ‘보배드림’

설렘을 갖고 출발한 여행에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방해받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모두 즐겁고 안전한 여행을 원하지만 예기치 못한 사건이 항상 기다리고 있다. 사건으로 여행에 안 좋은 기억이 남는다면 평생의 악몽으로 남을 것이다.

그 사건이 우리의 이동을 책임지는 자동차와 관련되어 있다면? 아마도 생명의 위협까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행 중 차량이 갑자기 멈춘다면? 100km/h로 달리는 차량에 치일 뻔했다면? 서비스 센터의 불친절한 대응을 받는다면? 지난 24일, 한 운전자에게 이 모든 상황이 발생하였다.

싼타페-결함
사진 출처 = ‘보배드림’
싼타페-결함
사진 출처 = ‘보배드림’

300km 달린 싼타페
출력 저하 현상 발생해

‘싼타페 MX5 덕분에 죽음의 문턱까지 다녀왔습니다..’라는 글이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작성자 A 씨는 장모, 장인, 아내 4명에서 울진으로 여행을 가고 있었다. 오전 5시 반 출발 후 오전 9시 반경 왕복 4차선 도로에서 운행 중 출력이 저하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하이브리드 시스템 점검 경고등이 뜨고 하이브리드 배터리는 로우가 되면서 차량이 멈추고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었다.

그 도로는 모든 차량이 100km 이상으로 달리고 있었고, 더 큰 사고를 막기 위해 맨몸으로 1차선으로 차선 변경 유도 후 삼각대를 설치하였다. 이후 가족들을 안전한 곳으로 가는 과정에서 접촉 사고가 날 뻔했고, 아내는 트라우마까지 남아 잠에 못 들고 있다고 한다. 경찰의 도움을 받아 차를 밀어 옮기고 현대 긴급 출동 콜센터에 전화했지만, 퉁명스러운 태도에 작성자는 ‘최악의 크리스마스 이브네요’, ‘다시는 쳐다보고 싶지 않습니다’ 등 여행과 기업에 부정적 기억만 갖게 되었다.

최근 풀체인지한 싼타페
결함 원인 대체 무엇일까?

이에 누리꾼들은 ‘풀체인지가 문제다’. ‘현대차는 타는 거 아니다’라며 현대차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내보이고 있다. 싼타페 MX5를 검색하면 안 좋은 소식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시동 불량 및 가속 페달 먹통 등 다수의 결함으로 현대차는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 중 가장 빈도 높게 제기되는 문제는 엔진 경고등 및 동력 상실로 주행 중 엔진 제어 경고등이 점등되며, 가속 페달을 밟고 있음에도 속도가 떨어지는 현상이다.

이는 현대차의 매출에 직격탄을 주고 있다. 현대차의 대표 SUV인 싼타페는 기아의 쏘렌토에 밀려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11월 기준으로 3만 4천여 대 정도 차이가 나고 있다. 누리꾼들의 반응도 ‘현대차 왜 타냐?’, ‘주변에 있는 사람이 현대차 타려고 하면 말려라.’ 등 부정적인 견해가 계속되고 있다.

사진 출처 = ‘보배드림’

계속해 발생하는 싼타페 결함
현대차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싼타페의 크고 작은 문제들로 당시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월 싼타페 1,925대를 리콜했다. 이외의 몇 문제들은 블루핸즈나 사업소에서 무상 수리를 진행 중이다. 또한 현대는 2023년 10월 31일 ~ 11월 21일 기간 내 생산된 모델에 대해 전방 카메라 내부 설정 오류로 인한 무상 수리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현대차는 고객의 불만을 잠재울 수 없었다. 잇따른 결함에 소비자들은 ‘이럴 거면 검수를 왜 3일씩이나 하는지 모르겠다’, ‘불안해서 마음 놓고 차 타기 힘들다’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대차는 지금 위기의 순간에 놓여있다. 정확한 처리와 대응만이 고객의 마음을 돌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와 관련된 뜨거운 이슈들
제보는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윤미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100배 수익’에도 슈퍼카 15대 처분... 김준수가 밝힌 속사정
  • 신동빈 한 마디에 구조조정 돌입한 롯데 계열사, 바로...
  • 판자촌 소년가장에서 경제부총리까지...'흙수저' 성공 신화, 누구?
  • “1년치 쟁였다” 미국인들이 사재기하는 '이것' 뭔지 봤더니...
  • 집 박차고 나온 무한궤도 출신 재벌 2세가 설립한 재단
  • 세상 떠난 가족 휴대폰 볼 수 있나... 디지털 유산 접근 법안 발의됐다

추천 뉴스

  • 1
    "최대 51만 원 오른다" '패닉 바잉' 소비자들 몰렸다는 '이곳'

    오피니언 

  • 2
    "한 사람 빠졌을 뿐인데"...삼성전자 내부에서 터져나온 말들

    기획특집 

  • 3
    "신입 월급이 1400만 원?" AI 업계 '채용 경쟁' 불타는 이유

    기획특집 

  • 4
    "폭락장인데" 개인투자자 매수 늘어나...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오피니언 

  • 5
    "몸값만 11조" 매각설 도는 카카오엔터, 현재 상황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오리고기인 줄 알고 먹었더니…" 줄 서던 맛집의 충격적 진실

    사건사고 

  • 2
    투자자들이 관심 가진다는 '알짜 상가' 지역 어딘지 봤더니

    오피니언 

  • 3
    "이번에도 피해 갔다" '관세 전쟁' 폭락장 속 살아남은 남성, 누구일까?

    기획특집 

  • 4
    "제2의 성심당 되나" SNS에서 난리 난 빵집, 매출만 무려...

    기획특집 

  • 5
    비트코인 1억 넘자… ‘워뇨띠’는 하루 만에 85억 벌었다

    기획특집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