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사이버트럭 ‘올 블랙’ 옵션, 역대급 가격 수준에 테슬람들 눈 돌았죠

조용현 기자 조회수  

최근 출시된 사이버트럭
도장이 없는 특징 덕분에
랩핑 형식으로 색상 추가

사이버트럭-블랙
테슬라 사이버트럭

전기차 시대 다양한 전기차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그 중 독보적인 모습을 하고 있는 전기차가 하나 있다.
바로 테슬라의 픽업트럭, 사이버트럭이다. 직선 위주의 각진 디자인, 도장 없이 철판이 그대로 드러난 모습 등 여러 부분에서 특이한 부분이 많아 많은 소비자들로부터 주목받았다. 하지만 첫 공개 이후 오랫동안 출시되지 않아 정말로 출시되기는 하는 건지 의문을 표하는 사람도 많았다.

최근 사이버트럭이 4년만에 공식적으로 출시되었고, 극소수 물량이지만 차량 인도도 이루어졌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사이버트럭은 별도의 도장이 없지만 테슬라에서는 컬러 옵션 선택지를 추가로 제공해 소비자 선택권을 높이겠다고 발표했다.

외판 가공이 어려워
도장 없는 사이버트럭

사이버트럭의 차체는 스페이스 X 로켓 외부에 적용된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뛰어난 강도를 확보했지만 문제는 가공하기 어려워 색상을 입힐 수 없었다. 그래서 사이버트럭의 외관을 살펴보면 도장 없이 스테인리스 특유의 색상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

또한 해당 소재의 가공이 어려운 탓에 정식 출시가 지금까지 지연되어 왔다.
출시된 이후에는 대량 생산을 통해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차를 인도해야 하는데, 가공하기 어려우니 대량 생산 역시 어려워져 이를 해결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결국 랩핑 형식으로
색상 옵션 제공한다

하지만 테슬라는 소비자들의 색상 추가 요구를 무시하지 않고, 어떻게 하면 색상을 추가할 수 있을까 고민했다. 고민한 결과 랩핑 형식으로 색상 옵션을 추가하는 것으로 결론내렸다.

색상은 무광 계열인 새틴 블랙과 새틴 화이트 이렇게 두가지가 있다.
특히 새틴 블랙을 선택할 경우 올블랙이 되어 더욱 압도적인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 옵션 가격은 6,500달러다. 단순히 색상을 표현하는 것 뿐만 아니라 우레탄 소재로 되어 있어 차량을 스크래치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비닐보다 친환경적이라고 한다. 무광 PPF랑 유사한 새틴 클리어 페인트도 옵션으로 제공하는데, 컬러 옵션보다 저렴한 5천달러다.

내년 본격 인도 사이버트럭
시장은 보수적으로 분석 중

올해는 극소수의 사이버트럭만 인도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인도를 시작한다고 한다.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는 2025년에 연간 25만대 정도의 사이버트럭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시장은 꽤 보수적으로 예측 중이다. 로히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 번스타인 분석가들은 내년에 7만 5천대 정도로 예상하고 있으며, 웨드부시 증권의 분석가들은 내년 상반기 1만대에 불과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생산이 뒷받침되지 않는 점 외에도 차량 가격이 당초보다 비싸진 점이 보수적으로 분석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4년 전 처음 공개 당시에는 3만 9,900달러부터 시작한다고 했지만 출시 이후 시작 가격은 6만 990달러다. 사륜구동 모델은 7만 9,990달러부터 시작하며, 최상위 사이버비스트는 9만 9,990달러부터 시작한다. 특히 가장 저렴한 RWD 모델은 2025년부터 인도가 시작될 예정이다.

자동차와 관련된 뜨거운 이슈들
제보는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조용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윤 전 대통령의 모든 흔적 없애라" 전군에 내려진 ‘소각 명령’
  • 극우 커뮤니티에서 퍼지고 있다는 '윤석열 대통령 재출마설' 내용 보니..
  • "모두가 충격에 빠졌다" 대통령실 비서실장, 수석비서관 현재 상황
  • “윤석열 파면 결정” 오늘부터 바로 '대선 예비 후보자' 등록 받는다
  • 윤석열 대통령 파면되자마자 입장문 올린 한동훈, 내용 보니...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에 급락하고 있다는 '이것' 정체

추천 뉴스

  • 1
    삼성전자가 '저출산 문제'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었다는 사내 규정

    오피니언 

  • 2
    “한국 축구 끝났다" 16년 장기 집권하는 정몽규, 아버지 ‘포니정’은 어땠을까?

    오피니언 

  • 3
    랜드마크 경쟁 나선 지자체에 낭비되는 국민 혈세, 상황 심각합니다

    사건사고 

  • 4
    “여기서 대출이 된다고?” 전국 2500곳 ‘이곳’, 은행 대신 몰린다

    오피니언 

    “여기서 대출이 된다고?”... 전국 2500곳 ‘이곳’, 은행 대신 몰린다
  • 5
    ”보수의 심장 · 민주화의 성지 아니죠“ 현시각 윤석열 선고에 가장 떨고 있는 지역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정말 대통령으로서...“ 트럼프 최측근이 평가한 윤석열, 내용보니..

    국제 

  • 2
    윤석열이 만약 탄핵된다면...대한민국의 앞날은 이렇게 달라집니다

    오피니언 

  • 3
    "탄핵 1일 앞두고.." 분위기 살벌하다는 헌법재판소 현재 상황

    기획특집 

  • 4
    "가격으로 따지면 1조 넘어" 초대형 규모의 마약 발견된 강릉, 살펴보니..

    사건사고 

  • 5
    8년 전 20만 명 모였던 광화문 일대, 올해는 얼마나 모이냐면...

    오피니언 

공유하기

1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