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모르면 죽을 수도..” 자동차 침수, 무조건 살아남는 탈출 방법 공개

서윤지 기자 조회수  

침수 위험 높은 장마철
만약 내 차량이 침수된다면?
탈출 방법 반드시 숙지해야

침수-탈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극심한 폭우가 내리면서 침수된 차량에 갇히는 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이번 폭우로 인해 19일 기준 전국에서 50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가장 피해가 큰 사고는 15일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발생한 침수 참사로 밝혀졌다. 지난 17일 마지막 실종자가 발견되면서 이 사고로 인해 총 14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이후 네티즌들은 안타까움을 표현하면서도 또 다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침수 시 행동 요령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차량용 비상 탈출 망치를 구비하거나 지인에게 비상 물품을 선물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차량 침수는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닌, 내 일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침수-탈출
사진 출처 = ‘뉴스1’
침수-탈출
사진 출처 = ‘뉴스1’

생사가 엇갈린 순간
지하 침수 대처법은

사고 당시 해당 지하차도를 탈출한 차량들의 블랙박스 영상을 보면 빗물이 차오르는 것을 확인하고 빠르게 차량을 돌려 역주행하는 장면, 빗물에 타이어가 잠긴 차량이 큰 물보라를 일으키며 지하차도를 빠져나가는 장면이 포착됐다. 과연 어떤 대처를 하는 것이 현명했을까?

차량이 침수되기 시작하면 먼저 빗물에 잠긴 타이어의 높이를 가늠한다. 미리 창문을 내린 후 타이어 높이의 3분의 2 이상이 잠기기 전에 가까운 둑 위로 대피해야 한다. 대피하지 못한 경우에는 전원을 켠 상태로 창문과 선루프를 열어야 한다. 이때 시동이 꺼졌다 하더라도 창문과 선루프가 개방될 수 있으니 포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 출처 = ‘뉴스1’
사진 출처 = ‘KBS 뉴스’

돌이킬 수 없다면
‘비상 도구’ 활용해야

버스의 창문 프레임에 달려있는 망치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현재 버스에는 법적으로 비상 탈출 망치가 4개 이상 구비되어 있다. 이번 사건처럼 버스가 침수돼 탈출해야 한다면 바로 이 망치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망치 끝의 뾰족한 부분으로 창문 모서리 끝에서 10cm 지점을 가격하면 쉽게 창문을 깰 수 있다.

이렇게 구비된 비상 탈출 도구가 있다면 침수 시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하지만 비상 도구가 없는 승용차에서 침수가 된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수압으로 인해 차량 문이 열리지 않을 경우 비상 탈출 망치 대신 안전벨트 장치와 목 받침대 지지봉 등을 이용해 창문을 깨면 된다.

사진 출처 = ‘뉴스1’
사진 출처 = ‘뉴스1’

뜻밖의 상황 마주한다면
상황별 매뉴얼 숙지해야

차량에 탈출 도구는 구비되어 있는데 창문을 깨기 힘든 상황이라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당황하지 말고 차량 안과 밖의 수위 차가 30cm 이하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탈출하면 된다. 행안부의 설명에 따르면 초등학교 고학년 정도의 힘이면 쉽게 차량 문을 개방할 수 있다고 한다.

만약 지하주차장에서 침수 상황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지하차도의 경우와 다르게 빗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른다면 차량을 버리고 즉시 탈출해야 한다. 지하주차장의 경우 빗물의 높이가 차량 타이어의 3분의 2 미만이어도 수압으로 인해 차량을 위쪽으로 대피시킬 수 없다. 따라서 빗물이 들어온다면 곧바로 탈출해야 한다.

author-img
서윤지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1

300

댓글1

  • 튜브 가지고 다니면됨

[뉴스] 랭킹 뉴스

  • ‘100배 수익’에도 슈퍼카 15대 처분... 김준수가 밝힌 속사정
  • 신동빈 한 마디에 구조조정 돌입한 롯데 계열사, 바로...
  • 판자촌 소년가장에서 경제부총리까지...'흙수저' 성공 신화, 누구?
  • “1년치 쟁였다” 미국인들이 사재기하는 '이것' 뭔지 봤더니...
  • 집 박차고 나온 무한궤도 출신 재벌 2세가 설립한 재단
  • 세상 떠난 가족 휴대폰 볼 수 있나... 디지털 유산 접근 법안 발의됐다

추천 뉴스

  • 1
    신동빈 한 마디에 구조조정 돌입한 롯데 계열사, 바로...

    뉴스 

  • 2
    판자촌 소년가장에서 경제부총리까지...'흙수저' 성공 신화, 누구?

    뉴스 

  • 3
    "이번에도 피해 갔다" '관세 전쟁' 폭락장 속 살아남은 남성, 누구일까?

    기획특집 

  • 4
    "제2의 성심당 되나" SNS에서 난리 난 빵집, 매출만 무려...

    기획특집 

  • 5
    비트코인 1억 넘자… ‘워뇨띠’는 하루 만에 85억 벌었다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전세 보증금 반환도 안 해주는데”… 전세 대신 인기라는 상품

    오피니언 

  • 2
    "제복 벗고 '이것 준비 중'... 줄줄이 떠나는 젊은 경찰들, 왜?"

    기획특집 

  • 3
    “1년치 쟁였다” 미국인들이 사재기하는 '이것' 뭔지 봤더니...

    뉴스 

  • 4
    “부촌 명성은 어디 안 가네” 현금 부자들 다 몰렸다는 ‘노른자 땅’

    오피니언 

  • 5
    "매출 1조원 찍어" 요즘 MZ들이 엄청나게 간다는 '이 곳', 어디일까?

    기획특집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