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 인구수 상승해
“강남 접근성, 신축 아파트 많은 영향”
재건축·재개발 영향 미쳐

강동구의 인구수 순위가 석 달 만에 6위에서 4위로 올라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각에서는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자들이 강동구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가 최근 확대되면서 이 지역들에서 ‘갭투자’가 불가능해졌다. 토허제 지역에서 부동산 거래를 할 경우 기초 지자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주택은 실거주 목적이 아니면 매입하지 못한다.

이를 위반할 경우 이행 명령과 이행 강제금이 부과될 뿐만 아니라 허가를 부정하게 받을 시에는 허가 취소나 수사 등 강력한 제재가 이루어진다. 이에 토허제 지역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강남 접근성이 좋은 강동구가 투자자들에게 차선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7일 서울 자치구에 따르면 강동구 인구는 지난달 기준 49만 2,005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25개 자치구 중 4위에 달하는 수치다. 강동구는 지난해 12월 6위에 그치는 인구수를 보였지만 두 달 사이 관악구, 노원구를 제치고 4위에 올랐다.
강동구를 제외하고 송파구가 64만 8,432명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2위 강남구(55만 7,501명), 3위 강서구(55만 4,535명), 5위 노원구(48만 9,683명) 등의 순서로 인구가 많았다.

업계에서는 강동구 인구가 단기간에 급증한 이유로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를 꼽았다. 올림픽파크포레온은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 단지’로 불리던 둔촌주공아파트를 재건축한 아파트이며, 해당 단지는 지난해 11월부터 1만 2,032세대 입주를 시작으로 11월(46만 8,284명) 이후 3개월 만에 주민 수가 약 2만 4,000명 상승했다.
강동구에는 올림픽파크포레온을 포함해 재개발·재건축, 대규모 공공택지 개발 사업에 따른 신축 아파트 공급으로 인해 주민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덕지구에는 1980년대 지어진 주공아파트 등을 재건축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착공되면서 주민 수가 급증했다.
앞서 지난 2017년 1월 2만 6,683명이었던 고덕동 주민 수는 지난달 4만 9,019명으로 약 2배가량 상승했다. 강일동과 상동에도 2017년부터 서울 마지막 대규모 공공택지 개발 지구로 불린 고덕강일지구에 신축 아파트가 착공되면서 주민 수가 급격히 늘어났다. 해당 지역의 주민 수는 2017년 1월 4만 6,452명에서 지난달 8만 7,080명으로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제의 보도에 따르면 강동구 둔촌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강남 접근성이 좋고 신축 아파트가 많다는 장점이 나타나면서 실거주자들이 꾸준히 유입되는 추세다”라며 “송파구 잠실 갭투자가 막힌 만큼 인접한 강동구 실거주 수요에 주목해 투자금이 발생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올림픽파크포레온이 들어선 뒤 주변 재건축·재개발에 속도가 붙고 있는 점도 갭투자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대출이 많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전세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지들에 이목이 쏠릴 것”이라며 “재건축과 대규모 개발 호재로 인해 투자 수요가 유입될 수 있다”라고 이야기했다.
한편, 토허제 지역에 갭투자가 불가능해지면서 투자에 제한을 받게 된 투자자들이 경매시장에도 관심을 두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매를 통해 낙찰받은 주택은 강남 3구·용산구에 위치하더라도 실거주 요건 없이 바로 전세를 놓을 수 있어 규제를 피해 투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토허제 지역의 투자 수요가 경매시장으로 몰릴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경·공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평균 경매 응찰자 수는 10.64명이었으나 서초구는 15명, 송파구는 12.8명으로 서울 평균 경매 응찰자 수를 웃돌았다.
낙찰가율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낙찰가율을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송파구 106.3%, 서초구 105.3%, 용산구 100.1%로, 모두 100%를 초과하는 수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