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온라인 명품 시장 점유율 1위 플랫폼 발란이 결국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돌입했다. 앞서 발란은 회생절차와 함께 빠르게 인수합병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명품 소비가 움츠러든 상황에서 기업가치도 떨어져 전망이 어둡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이어 정산 대금 지연 이후 며칠 만에 기업회생을 신청하는 과정이 지난해 ‘티메프’ 사태를 떠올리게 하면서 입점사들의 불안감을 잠재우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발란은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전했다.
입장문을 통해 최형록 발란 대표는 “올해 1·4분기 내 계획한 투자유치를 일부 진행했으나 예상과 달리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돼 단기 유동성 경색에 빠졌다”라며 “파트너들(입점사)의 상거래 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발란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회생을 신청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이어 최형록 대표는 일반 소비자에게는 금전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현재 미지급된 상거래 채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은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발란의 월 거래액은 평균 300억 원으로 파악됐다.

이날 최 대표는 회생절차와 함께 빠른 인수합병(M&A)을 위해 이번 주 내 매각 주관사를 선정하겠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최 대표는 “회생계획안 인가 전에 외부 인수자를 유치, 현금흐름을 대폭 개선해 사업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빠르게 높일 것”이라며 “인수자 유치로 파트너들의 상거래 채권도 신속하게 변제하고자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잠재 인수자 역시 플랫폼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입점 파트너가 지속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기반을 전제로 투자 및 인수를 결정하게 된다”면서 입점 파트너사와의 거래 지속과 동반성장 의지를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정산 지연 이후 발란의 행보는 정산 안정화와 관계 회복, 플랫폼 정상화까지 연결하겠다는 발표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인수합병에 대한 업계의 전망은 어두운 상황이다. 이에 대해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이미 대부분의 플랫폼에서 명품을 다루고 있는 데다 발란의 비즈니스 모델이 특별한 진입장벽이 있는 것도 아니다”라면서 “요즘 명품 시장 분위기도 좋지 않은 상황이라 인수에 나설 기업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