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한남동에 도전장?” 낡았어도 ‘평당 1억’ 찍은 지역, 여기였다

허승연 조회수  

구축 아파트 평당 1억
브라이튼이 바꾼 시장
서울에서 가장 많이 거래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서울의 초고가 주택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 1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용산구 ‘한남더힐’ 전용 233㎡ 1층 매물이 지난 1월 4일 109억 원에 손바뀜이 이뤄지면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올해 첫 아파트 100억 원대 거래다. 해당 면적 직전 최고가는 지난 2024년 10월 100억 원으로 3개월 만에 9억 원가량 오른 셈이다.

눈길을 끄는 것은 여의도 일대 노후 아파트가 올들어 3.3㎡당 1억 원대 대열에 합류한 점이다. 국토부 자료에 따르면 1976년에 준공된 ‘서울’ 전용 139㎡(48평형)가 1월 초에 53억 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3.3㎡당 1억 원이 넘는 가격이다. 또한 영등포구 여의도동 대교아파트 전용면적 95㎡는 작년 11월과 12월 직전 거래보다 약 1억 5,000만 원 오른 25억 원에 거래됐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신축 단지인 ‘브라이튼 여의도’도 3.3㎡당 1억 원이 넘는 가격이 거래되고 있다. ‘브라이튼 여의도’가 2023년 입주를 시작한 이후 여의도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반응하고 있다.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서울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아파트로 ‘브라이튼 여의도’가 선정됐다. 불과 두 달여 동안 56건이 팔리며, 강남권 대단지들을 제치고 최다 거래 기록을 세웠다. 헬리오시티(30건), 올림픽파크 포레온(20건대) 등을 압도하는 숫자였다. 신축 아파트 효과가 시장 전체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브라이튼 여의도’는 2008년 ‘여의도 자이’ 이후 15년 만에 들어선 신축 아파트 단지이다. 지난해 9월 26일, 45층 전용 113㎡가 50억 9,900만 원에 거래되며 여의도 주거 시장의 기준을 다시 썼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브라이튼 여의도가 이렇게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한 신축이어서가 아니다. 이곳은 업무지구(YBD, Yeouido Business District) 중심에 위치하면서도, 최고급 생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대표적으로 ‘더 현대 서울’과의 인접성이 있다. 실제로 브라이튼 여의도는 현대백화점과 불과 몇 걸음 거리다. 기존의 여의도 아파트 단지들이 노후화되고 있던 상황에서, 이러한 입지적 강점은 고급 주거지로 자리 잡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됐다.

여의도는 강남과 강북을 모두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이며, 한강 변을 따라 고급 주거지로 탈바꿈할 가능성이 크다. 한남동과 달리 신축 공급이 상대적으로 원활하다는 점도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이처럼 부동산 거래 비수기에도 이들 지역의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는 것은 재건축 기대감과 우량 입지에 대한 선호가 결합한 결과로 보인다.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갈수록 커지면서 가격 상승 기대감이 큰 주요 지역의 재건축 단지의 가격 흐름은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과 달리 흘러가는 디커플링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전문가들은 초고가 주택 시장의 양극화가 더 심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여의도에서의 ‘평당 1억 원’ 거래는 강남·한남동 수준에 다가서고 있다는 신호탄이다. 여기에 ‘브라이튼’ 브랜드의 성공적인 안착이 더해지면서 신축 단지 중심으로 초고가 거래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고소득자 증가와 통화량 확대로 인해 초고가 주택 수요는 지속될 것”이라며 “정부의 대출 규제도 초고가 주택 시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한남동이 여전히 초고가 시장의 중심을 지키고 있지만, 여의도의 가파른 상승세가 어디까지 이어질지는 시장의 흐름을 지켜봐야 할 대목이다.

author-img
허승연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오피니언] 랭킹 뉴스

  • "법리적으로 납득 안 돼" 대통령 탄핵 선고에 윤석열 변호인이 보인 반응
  • "오래된 빚, 함부로 갚으면 큰일 난다" 금감원이 경고한 이유
  • 6년 전 국내 최고가 자랑하던 아파트, 맞은편에 고급빌라 들어왔더니...
  • 삼성전자가 '저출산 문제'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었다는 사내 규정
  • “한국 축구 끝났다" 16년 장기 집권하는 정몽규, 아버지 ‘포니정’은 어땠을까?
  • “여기서 대출이 된다고?”... 전국 2500곳 ‘이곳’, 은행 대신 몰린다
    “여기서 대출이 된다고?” 전국 2500곳 ‘이곳’, 은행 대신 몰린다

추천 뉴스

  • 1
    "비혼이 대세라 외치더니.." 결혼식 올리는 MZ 커플 늘어난 이유

    Uncategorized 

  • 2
    랜드마크 경쟁 나선 지자체에 낭비되는 국민 혈세, 상황 심각합니다

    사건사고 

  • 3
    "호가가..." 토허제 폭탄에 인기 폭발이라는 빌라 상황

    뉴스 

  • 4
    ”보수의 심장 · 민주화의 성지 아니죠“ 현시각 윤석열 선고에 가장 떨고 있는 지역

    기획특집 

  • 5
    "정말 대통령으로서...“ 트럼프 최측근이 평가한 윤석열, 내용보니..

    국제 

지금 뜨는 뉴스

  • 1
    직원 추락사 이은 한투증권 악재... 결국 금감원, 칼 빼 들었다

    뉴스 

  • 2
    윤석열 탄핵 심판 선고일 정해지자 난리나고 있는 "정치 테마주“

    뉴스 

  • 3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 확정된 홍남표 시장, 마지막으로 남긴 말은?

    뉴스 

  • 4
    "원인은 바로…“ 영남, 역대급 산불 피해 진짜 이유 있었다

    뉴스 

  • 5
    "탄핵 되기 전에..." 하야설 퍼지고 있는 윤석열, 내용 보니

    뉴스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