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쭉 떨어지는 엔화를 사두면 좋을까요?” 질문에 전문가들 반응

한하율 기자 조회수  

‘초엔저’ 현상 예상돼
일본 자민당 참패 영향
엔화 투자 방법도 화제

"쭉 떨어지는 엔화를 사두면 좋을까요?" 질문에 전문가들 반응
출처: 뉴스1

최근 일본 중의원 선거에서 집권당인 자민당이 참패하면서 한동안 주춤했던 ‘초엔저’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앞서 석 달 전 시장을 공포에 밀어 넣었던 엔화 강세 현상의 충격은 온데간데없다.

지난 28일 엔·달러 환율은 하루 만에 달러당 1엔 넘게 오르면서 153엔을 넘어섰다. 장중에는 153.87엔까지 치솟으며 154엔에 근접하기도 했다. 엔·달러 환율이 달러당 153엔을 넘어선 것은 석 달 만이다. 엔화가 약세를 보이자 같은 날 닛케이225 지수도 1.82% 증가하면서 3주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쭉 떨어지는 엔화를 사두면 좋을까요?" 질문에 전문가들 반응
출처: 뉴스1

이처럼 엔화가 출렁인 것은 지난 27일 진행된 일본의 하원 격인 중의원 선거 여파로 해석된다. 집권 여당인 자민당과 연립 여당인 공민당은 전체 의석 중 215석을 차지하는 데 그치면서 15년 만에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수치로 따지면 46% 수준이다.

‘비자금 스캔들’로 자민당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무너진 데다 이시바 총리 취임 이후 엔화 약세가 발생하며 국민의 체감 경기가 악화한 것이 참패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엔화 가치가 떨어지면, 수입 물가가 상승해 일본 국민의 실질소득이 떨어질 수 있다.

이시바 총리는 지난 1일 취임 전 금리 인상 의지를 보였지만, 취임 이후엔 예상과 달리 증시 충격 등을 고려해 긴축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쭉 떨어지는 엔화를 사두면 좋을까요?" 질문에 전문가들 반응
출처: 뉴스1

이에 강세를 보이던 엔화는 약세로 돌아섰다. 더하여 최근 미국 경기 호조와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상승하면서 발생한 강달러 현상으로 엔화 절하 속도가 가팔라졌다. 이에 일부 투자자들은 엔화 매입을 고민하고 있다.

그럼에도 시장에서는 이시바 총리 정권이 연말부터는 금리 인상 기조로 선회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중의원 선거에서 참패하면서 이 역시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쭉 떨어지는 엔화를 사두면 좋을까요?" 질문에 전문가들 반응
출처: 뉴스1

이에 대해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달러화 강세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 내 정치 혼란에 따른 피벗(통화정책 전환) 지연은 엔화 약세에 압력을 높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환율이 재차 달러당 160엔 수준에 근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엔화 약세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는 만큼 일본 정부가 엔저를 지켜볼 수만 없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이에 대해 신윤정 교보증권 연구원은 “대내외 엔화 약세 요인들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단기적이며, 엔화 자체의 모멘텀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엔화의 절상 기조는 유효하다”라고 설명했다.

"쭉 떨어지는 엔화를 사두면 좋을까요?" 질문에 전문가들 반응
출처: 뉴스1

여러 의견이 나오는 만큼 전문가들은 신중한 투자를 권고했다. 엔화 투자에 관심을 가지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투자 방법도 주목받았다.

엔화에 투자하는 가장 쉬운 방법 가운데 하나는 환전을 통해 직접 보유하는 것이다. 최근 일본 여행객이 급증하면서 엔화를 저렴하게 구매하는 방법이 공유되기도 했다. 금융회사에서 제공하는 앱을 통해 원·엔 환율을 확인하고 최저점을 보일 때마다 엔화를 구입해 두면 환차익을 볼 수 있다.

엔화 예금도 쉬운 투자 방법의 하나다. 이는 원화가 아닌 엔화로 국내 은행에 예금하는 것인데, 정기예금처럼 이자가 불어난다. 다만 시중은행의 금리는 ‘제로(0)’ 수준으로 이자 수익이 아닌, 미래 환차익을 고려해 투자해야 한다. 이 외에도 일본 주식에 투자하거나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는 방법 등도 있다.

댓글0

300

댓글0

[오피니언] 랭킹 뉴스

  • '3,000만 명 국민 앱' 만들었던 청년, 근황 전했습니다
  •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 "비호감도 높은데..." 대선 출마 자격 얻었다는 이준석, 현재 상황
  • “정신 못 차렸네” 13조 혈세 투입된 신공항 사업, 충격입니다

추천 뉴스

  • 1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오피니언 

  • 2
    '사기' 혐의로 고소당한 홈플러스, 결국 이렇게 됐습니다

    뉴스 

  • 3
    “긴급히 뵙자” 세 번이나 요청한 이재명, 한덕수가 침묵한 이유는

    뉴스 

  • 4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오피니언 

  • 5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지금 뜨는 뉴스

  • 1
    "5월 2일 임시공휴일 확정?" 만우절 가짜뉴스 피해주의보

    뉴스 

  • 2
    "떠넘기려는 듯" NC다이노스 공문 받은 창원시에서 보인 반응

    사건사고 

  • 3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 의혹에 외교부가 내린 결단

    뉴스 

  • 4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오피니언 

  • 5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국제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