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없어서 못 팔죠”…곰팡이 핀 반지하 월세도 줄계약 된다는 지역

서윤지 기자 조회수  

강남 학군의 중심 대치동
학원가 주변 다세대주택
반지하 가격 높게 형성돼

"없어서 못 판다"...곰팡이 핀 반지하 월세도 줄계약 된다는 지역
출처: 뉴스1

‘명문대 진학의 꿈’ 하나만으로 많은 학생이 몰려 월세방이 없어 반지하까지 빠른 계약이 줄을 잇는다는 지역이 있다. 해당 지역은 바로 강남 학군의 중심 대치동이다. 대치동 원룸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은 대부분 재수생으로, 이들 가운데 많은 학생은 열악한 환경인 반지하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구 대치2동 골목길에는 여러 다세대주택이 밀집해 있다. 이곳은 한국 학군의 중심이라 불리며 많은 학원이 밀집한 곳이기도 하다. 지방에 거주하는 이들이 상위권 대학 진학의 꿈을 품고 이곳을 찾는다.

"없어서 못 판다"...곰팡이 핀 반지하 월세도 줄계약 된다는 지역
출처: 뉴스1

이들은 월 200만 원 이상의 학원비를 감당하면서도 일명 ‘스타강사’나 ‘수능 만점자’를 배출한 유명 재수학원에 다니기 위해 현장 강의를 듣는다. 재수생 가운데 일부는 고시원 형태의 숙소인 ‘학사’를 선택하지만, 가격 등의 이유로 반지하를 찾는 이들이 많다고 한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대치동 학원가 뒤편 골목에 자리 잡은 다세대주택에는 대부분의 재수생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으로 대치동 지역의 반지하 매물의 가격은 웬만한 대학가 다세대주택 지상층과 비슷한 수준으로 형성돼 있다.

"없어서 못 판다"...곰팡이 핀 반지하 월세도 줄계약 된다는 지역
출처: 뉴스1

통상 반지하 가구의 경우 턱없이 부족한 일조량과 더위 및 곰팡이 등 시설이 열악하지만, 대치동 지역은 한정된 가구에 많은 학생이 몰리며 높은 가격대의 월세가 설정되었다. 이에 대해 공인중개사 A 씨는 “올해 대치동 학원가 인근 반지하 시세는 보증금 500만~1,000만 원에 월세 50만~60만 원 수준이다”라며 “상대적으로 돈이 없는 학생들은 별다른 수가 없으니, 반지하를 찾는다”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공인중개사 B 씨 역시 “학원가 근처 반지하는 보증금 550만 원에 월세 60만 원이 주로 나간다”라면서도 “학생이 못 버틸까 봐 3개월 등 단기로 계약하기도 한다”라고 했다. 반지하의 열악한 환경으로 단기계약까지 발생한 것이다.

"없어서 못 판다"...곰팡이 핀 반지하 월세도 줄계약 된다는 지역
출처: 뉴스1

실제 대치동 학원가 인근에 거주하는 C 학생은 반지하를 ‘밥솥’에 비유하기도 했다. C 학생은 충남 서산 출신으로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5평 남짓 반지하 방을 구했다. C 학생은 “여름에 창문을 열어도 바람이 전혀 들지 않는다”라며 “반지하 방은 마치 ‘밥솥’ 같다”라고 했다. 이제 갓 고등학교를 졸업했거나, 20대 초반 학생이 거주하기엔 매우 열악한 환경인 것이다.

이에 대해 C 학생은 “장마가 지나 곰팡이와 침수 등의 걱정을 덜었지만, 여전히 집에 있는 건 답답하다”라면서도 “‘인서울’, 명문대에 진학하는 생각으로 버틴다”라고 설명했다.

"없어서 못 판다"...곰팡이 핀 반지하 월세도 줄계약 된다는 지역
출처: 뉴스1

한편 대치동 지역은 월세 300만 원인 가구도 계약이 빠르게 체결된다고 한다. 이 지역은 방을 구하려면 수능이 치러지는 달인 11월 중순 이후를 중심으로 손바뀜 시기가 온다.

이때 많은 수요자가 몰리면서 고가의 월세방도 잇달아 거래되는 것이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대치동 지역의 월세 300만 원 수준 매물은 주로 투룸이며, 부모님과 살거나 친구 2명이 함께 사는 경우가 주를 이루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댓글0

300

댓글0

[오피니언] 랭킹 뉴스

  • “평당 2억” ‘국민평형’ 역대 최고 금액 기록한 아파트, 어디일까?
  • “한남동에 도전장?" 낡았어도 ‘평당 1억’ 찍은 지역, 여기였다
  • '3,000만 명 국민 앱' 만들었던 청년, 근황 전했습니다
  •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추천 뉴스

  • 1
    "파괴의 미학.." 민주당이 공개적으로 비난한 경북도지사 발언

    사건사고 

  • 2
    "7년 뒤 1,247억 달러" 유통 대기업이 테마파크 눈독 들이는 이유

    국제 

  • 3
    '3,000만 명 국민 앱' 만들었던 청년, 근황 전했습니다

    오피니언 

  • 4
    "10억 올라"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가 매입한 46억 건물, 어디길래...

    뉴스 

  • 5
    "이재명이 승리할 가능성은..."해외 매체가 분석한 윤석열 탄핵 확률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오피니언 

  • 2
    '사기' 혐의로 고소당한 홈플러스, 결국 이렇게 됐습니다

    뉴스 

  • 3
    “긴급히 뵙자” 세 번이나 요청한 이재명, 한덕수가 침묵한 이유는

    뉴스 

  • 4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오피니언 

  • 5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