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평양의 궁전’이라 불리던 북한 김정은 호화주택이 사라졌다고?

윤미진 기자 조회수  

호화주택 철거 정황 포착
김씨 일가 사용해 온 개인 휴양지
군으로 이전하는 작업 일환 추정

출처 : Google Earth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호화주택 중 한 곳에서 여러 구조물이 철거된 모습이 포착됐다.

지난 7일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에 따르면 북한 건설 동향을 전한다는 X(옛 트위터)의 한 계정에 “최신 위성사진을 보면 김정은의 ‘력포궁 저택'(Ryokpo Palace residence)이 철거되거나 리모델링되고 있다”는 글이 올라왔다.

앞서 북한 전문매체 NK뉴스의 프리미엄 서비스 NK프로도 “평양 남쪽에 있는 력포궁 저택의 주거용 건물과 부속 구조물을 지난 4월 21일에서 25일 사이 철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한 바 있다.

매체는 철거의 이유를 이 지역을 군으로 이전하는 작업의 일환이라 추정했다.

출처 : TASS

력포궁은 김정은 위원장 시대 이전부터 김씨 일가가 사용해 온 개인 휴양지로 알려졌다. 별명은 ‘평양의 궁전’이다.

과거 러시아 국영 통신사 ‘타스’는 이곳의 모습을 일부 공개한 바 있다.

주택 마당에는 탁 트인 정원이 펼쳐져 있고 인공 연못에선 물줄기가 뿜어져 나왔다. 내부는 세련되고 화려한 디자인의 조명과 대리석으로 장식돼 있으며 값비싼 조각상 등 예술 작품이 놓여 있다.

극심한 가난에 빠진 일반 북한 주민들과 달리 최고 지도자의 부유한 생활 방식이 드러나는 집이었다.

출처 : VOA

북한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이 밖에도 수십 채나 되는 저택 및 별장을 소유한 것으로 추정했다.

지역별로는 평북에 6곳, 평남 6곳, 평양 4곳, 양강 3곳, 함남북 9곳, 황남북 3곳, 그리고 강원도와 자강도에 각 1곳씩 모두 33곳에 이른다고 한다.

특히 ‘환상의 섬’ 별장이 국제 사회에서 크게 주목받은 바 있다. 원산에서 직선거리로 50km 가량 떨어진 곳에 백도, 죽도, 석도 등 세 개의 섬이 있다. 김씨 일가는 이 세 섬에 요트 접안시설과 승마장, 숙박시설을 나누어 세웠다.

지난 2013년 미국 프로농구(NBA) 출신 데니스 로드먼은 이곳을 방문해 김 위원장과 함께 술을 마시고 파티를 즐겼다고 한다.

당시 로드먼은 “이 섬을 하와이와 비슷하지만, 주민은 김정은 한 명뿐”이라 묘사했다.

출처 : KBS뉴스

한편 최근 김정은 위원장의 봉화 2호 별장 인근에서 미사일 시험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부터 별장 앞을 잔디밭처럼 만들더니, 지난해 4월 13일과 7월 12일, 그리고 12월 18일 세 차례에 걸쳐 ‘화성포-18형’ 이라 불리는 고체연료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했다.

봉화 2호 별장은 별장 겸 최고위층용 의료시설로서 김 위원장이 애용하는 별장이다.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자신의 동선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핵무기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author-img
윤미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오피니언] 랭킹 뉴스

  • "지금이 기회" 모건스탠리 최고 투자책임자가 전한 주식 투자 조언 내용
  • "급매물이 갑자기..." 대통령실 옮긴다더니 난리 난 세종시 상황
  • “10명 중 7명 노인” 이부진과 현대건설이 주목하고 있다는 새로운 사업
  • “한남동 아니죠” 尹 파면 여파·시위로 몸살 앓고 있다는 지역
  • "강남에 사는데 월 10만 원" 첫 입주자 모집에 나선 '이것', 무엇일까?
  • "350억 규모" 금융사고 발생한 하나은행, 원인 뭔지 봤더니...

추천 뉴스

  • 1
    "친구 자가야, 전세야?" 주거 형태로 차별 생긴다는 현재 상황

    오피니언 

  • 2
    매출 4조 원 기록한 다이소의 효자 사업, 이거였다

    기획특집 

  • 3
    "금액만 2500억" 대형 은행도 속였다는 20대 CEO, 누구길래?

    오피니언 

  • 4
    “복귀 시한 넘기면”... 의대 학장들이 의대생들에게 날린 경고 내용

    사건사고 

  • 5
    "홍라희 1466억 2위" 지난해 대기업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미아리 텍사스촌' 사라지는데 웃지 못하는 사람들

    기획특집 

  • 2
    ‘강제추행 피해자 무고 혐의’ 오태완 군수 1심 결과 나왔다

    사건사고 

  • 3
    "이재명이 안 됐으면 좋겠지만..." 보수의 심장 대구, 민심 변하고 있다

    오피니언 

  • 4
    각종 논란 터졌던 백종원, 더본코리아 결국 입장 밝혔다

    사건사고 

  • 5
    ‘폭싹’ 잡으러 왔수다...넷플릭스 공개되자마자 1위한 한국 드라마

    기획특집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