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과 경남을 휩쓴 대형 산불이 진화됐지만, 피해 지역 주민들의 삶은 여전히 멈춰 있다. 이번 산불로 영남 지역에서 피해를 본 산림 면적은 약 4만 8,000헥타르로, 서울 면적의 80%에 달한다. 경북 지역에서는 주택 3,369채가 전소되고, 이 중 98%가 전소됐다. 이로 인해 3,773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농작물 피해는 558헥타르이며, 그중 493헥타르는 사과와 자두 등 과수원이었다. 또한 시설하우스 281동, 축사 51동, 농기계 1,369대가 불에 탔으며, 가축 5만여 마리가 폐사했다.
일부 지역 주민들은 농번기를 앞두고 농사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안동의 한 주민은 사과나무 1,000평이 모두 타버려 올해 농사를 망쳤다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지 눈앞이 깜깜하다”라고 전했다. 영양의 또 다른 주민은 “농기계와 오미자밭, 자두밭이 모두 불에 타 이제 뭐 해 먹고 살아야 되나”라며 당장 생계가 막막하다고 호소했다.

어촌 지역도 산불로 인해 큰 피해를 보았다. 영덕에서는 어선 19척이 전소됐고, 6곳의 양식장이 피해를 보았다. 특히 한 양식장에서는 은어 약 50만 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북 지역에서 산불로 피해를 본 면적은 4만 5,157헥타르로, 이는 축구장 약 6만 3,283개에 해당하는 규모다. 경북도는 이번 피해가 2022년 동해안 산불 당시의 9,000억 원보다 훨씬 큰 수조 원대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경북도는 피해 조사가 끝나는 대로 철거 및 복구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지만, 피해 규모가 광범위해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현재는 이재민을 위한 임시 주거시설 마련이 우선되고 있다. 경남도는 피해 주민에게 1인당 30만 원의 긴급 지원금을 지급하고, 조립식 주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