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돈 때문에…” 서울시가 ‘싱크홀 위험지역’ 공개하지 못하는 이유

허승연 기자 조회수  

"돈 때문에..." 서울시가 '싱크홀 위험지역' 공개하지 못하는 이유

출처: 뉴스1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가 사망한 가운데, 서울시의 지반침하 위험지역 비공개 방침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사고는 지난 3월 24일 오후 6시 29분쯤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발생했으며, 지름 20m, 깊이 18m 규모의 땅 꺼짐 현상으로 오토바이를 타고 이동 중이던 33세 남성이 추락해 숨졌다. 사망자는 평소 주간에는 프리랜서 광고업에 종사하고, 야간에는 생계를 위해 배달 일을 병행하던 성실한 가장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인들에 따르면 그는 2018년 아버지를 사고로 잃은 후 어머니와 여동생을 부양하며 일주일 내내 일해온 인물로, 갑작스러운 사고에 유족과 주변 인물들이 큰 충격에 빠졌다.

이처럼 사고가 반복되고 있음에도, 서울시는 지반침하 가능성을 분석한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바탕으로 정기 및 특별 점검을 실시하고 있지만, 위험지역의 상세 주소나 등급 등은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있다.

"돈 때문에..." 서울시가 '싱크홀 위험지역' 공개하지 못하는 이유

출처: 뉴스1

서울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서울 전역에서 총 216건의 싱크홀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반침하 안전 지도를 제작하고, 올해부터는 GPR(지표투과레이더)을 활용한 탐사도 병행하고 있다. 해당 지도는 도로 181개 구간, 총 1만㎞를 분석해 지반침하 위험도를 1~5등급으로 수치화한 자료다.

정기 점검은 5년 주기로 이뤄지며, 침수 지역, 노후 상하수관 주변, 지하철역 등은 매년 우기 전후로 특별점검 대상에 포함된다. 사고가 난 명일동 역시 2021년부터 지하철 9호선 연장 공사로 인해 특별점검 대상지에 포함돼 있었다.

하지만 서울시는 지반침하 안전 지도를 내부 관리용으로만 활용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안전등급 산정에 여러 요소가 반영되기 때문에 등급을 외부에 공개할 때 각 항목에 대한 개별 설명이 불가피하고, 등급 자체가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공개가 어렵다는 견해다. 또 등급 공개 시 주민들의 불안감이나 자체 조사 결과와의 차이로 인해 문제 제기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했다. 서울시는 이 같은 이유로 지반침하 안전 지도를 자치구나 시공사 등 관계 기관에만 공유하고, 일반 시민에게는 공개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author-img
허승연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사건사고] 랭킹 뉴스

  • "수백만 원 결제했는데"....먹튀 사태에 곡소리 나오고 있다는 업종
  • 국내서 3번째로 높은 현상금 걸린 수배범...재조명되고 있는 이유
  • "내 월급 빼고 다 오르네"...한숨 나오는 한국 상황
  • “나쁜 부모 157명 제재" 7월부터 달라진다는 양육비 제도, 어떻게 바뀔까?
  • 보이스피싱 당했다 영화 주인공까지 된 여성...피해 금액 못 받는다
  • “XX, 나 놀러 가려 했는데” 욕설 논란 유명 쇼호스트, 근황 전했죠

추천 뉴스

  • 1
    “나쁜 부모 157명 제재" 7월부터 달라진다는 양육비 제도, 어떻게 바뀔까?

    사건사고 

  • 2
    "한국인은 못 사요" 직장인 월급 3배 벌어가는 가게, 어디일까?

    국제 

  • 3
    “건물주보다 좋아... 20년 전 찍은 시트콤 한 편으로 매년 이만큼 벌죠”

    국제 

  • 4
    올리브영·비비고 신화 만든 여성, 이렇게 살고 있습니다

    기획특집 

  • 5
    "큰일 났다" 트럼프 '한마디'에 폭락 중인 종목, 뭐냐면...

    국제 

지금 뜨는 뉴스

  • 1
    31조 투자한다더니.. 미국에서 세금 폭탄 맞게 된 현대자동차 상황

    국제 

  • 2
    진보 진영의 상징이었던 ‘김문수’가 보수로 돌아선 현실 이유

    기획특집 

  • 3
    "맥날·스벅 아니죠" 세계 1위 프랜차이즈 업체 됐다는 중국 기업

    국제 

  • 4
    “여의도 흉물 될 뻔했죠”...신세계·롯데 바짝 긴장하게 만들었던 건물 근황

    오피니언 

  • 5
    “손흥민보다 더 받아” 이정후가 MLB에서 버는 어마어마한 수입

    국제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