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트럼프의 승리 가능성 높아지자 현재 비트코인…심상치 않다

문동수 기자 조회수  

미국 대선 개표 결과 화제
트럼프 우세한 것으로 나와
비트코인·테슬라 주가 올라

트럼프의 승리 가능성 높아지자 현재 비트코인...심상치 않다
출처: 셔터스톡, 뉴스1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높다는 개표 결과가 나오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역대 최고가를 달성하여 이목이 쏠렸다.

6일 AP통신에 따르면 84% 개표 기준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은 50.7%, 민주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48.2%를 득표했다. 또한 뉴욕타임스는 지금까지 결과와 개표하지 않은 표 수를 고려할 때, 트럼프 전 대통령이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이길 확률이 95% 수준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미국 대선에서 승리하려면 538명의 선거인단 중 과반인 270명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이중 노스캐롤라이나에는 16명의 선거인단이 걸려 있어 중요한 주로 꼽힌다.

트럼프의 승리 가능성 높아지자 현재 비트코인...심상치 않다
비트코인 주가

개표 이후 트럼프 전 대통령이 우세하다는 보도가 쏟아지면서 6알 가상자산(암호화폐) 국제거래소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한국 시각 오후 12시께 비트코인 가격은 7만 5,011달러(한화 약 1억 500만 원)까지 치솟았다. 올해 3월 비트코인이 7만 3,797달러를 기록한 이래 가장 높은 가격에 형성되어 있다.

오후 2시 40분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7만 4,40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미국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과 해리스 부통령이 맞붙은 대선 개표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화제 되고 있다.

트럼프의 승리 가능성 높아지자 현재 비트코인...심상치 않다
출처: 뉴스1

가상자산 시장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을 높게 점치면서 암호화폐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두 후보 모두 암호화폐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지만, 암호화폐는 공화당 후보의 당선 가능성에 베팅하는 이른바 ‘트럼프 트레이드’로 여겨졌다.

실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을 “전 세계의 비트코인, 암호화폐의 수도”로 만들겠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런 행보를 뒷받침할, 이른바 ‘비트코인 법안’까지 공화당이 내놓으면서, 트럼프가 우세하다는 개표 결과에 시장이 발 빠르게 반응하고 있다.

트럼프의 승리 가능성 높아지자 현재 비트코인...심상치 않다
출처: 뉴스1

공화당이 제안한 이 법안은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은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여 앞으로 5년 동안 비트코인 100만 개를 매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는 지난 5일 기준으로 한화 약 100조 원 규모의 예산이 필요한 계획이다.

한편, 6일 암호화폐 전문 베팅사이트인 ‘폴리마켓’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94.4%까지 증가했다. 반면 해리스 부통령은 5.8%에 그쳤다.

하루 전만 하더라도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확률이 54%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하루 만에 시장의 기대감이 크게 높아진 셈이다. 비트코인의 강세에 다른 가상화폐들도 줄줄이 상승장에 합류했다.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은 전일 대비 약 6.6% 올랐고, 도지코인의 경우 무려 약 23%가 치솟았다.

트럼프의 승리 가능성 높아지자 현재 비트코인...심상치 않다
출처: 뉴스1

비슷한 이유로 5일(현지 시각) 미 대선 당일 테슬라의 주가가 전일 대비 3.54% 상승해 251.44달러에 마감했다. 한때 장중 상승폭은 5.12%까지 올랐으며, 시간 외 거래에서 1.1% 추가 상승하기도 했다.

시장은 이와 같은 주가 흐름을 두고 투자자들이 이번 대선을 테슬라에 긍정적인 쪽으로 해석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했다. 일론 머스크 CEO(최고경영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표적인 지지자이며, 당선을 지원하기 위해 슈퍼팩(정치자금 모금 단체)인 ‘아메리카 팩’을 직접 설립하여 운영하기도 했다.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을 위해 최소 1억 3,200만 달러(한화 약 1,840억 원)를 쓴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0

300

댓글0

[사건사고] 랭킹 뉴스

  • “이제 한계 왔다" 나라에서 특혜 내걸어도 사람 안 구해진다는 직업
  • “쇠퇴의 길 걷고 있어” 취업자수 12년 만에 최저치라는 업계 상황
  • 2,000만 원 귀금속 훔친 절도범 붙잡은 결정적 증거, 무엇일까?
  • "파괴의 미학.." 민주당이 공개적으로 비난한 경북도지사 발언
  • "떠넘기려는 듯" NC다이노스 공문 받은 창원시에서 보인 반응
  • “너 내 여자친구 할래” 장제원과 단둘이 만난 날, 피해자는 무너졌다

추천 뉴스

  • 1
    "7년 뒤 1,247억 달러" 유통 대기업이 테마파크 눈독 들이는 이유

    국제 

  • 2
    '폭싹 속았수다' 리뷰 유튜버, 영상 하나로 번 금액만 무려...

    기획특집 

  • 3
    '3,000만 명 국민 앱' 만들었던 청년, 근황 전했습니다

    오피니언 

  • 4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오피니언 

  • 5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 2
    "떠넘기려는 듯" NC다이노스 공문 받은 창원시에서 보인 반응

    사건사고 

  • 3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오피니언 

  • 4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국제 

  • 5
    "비호감도 높은데..." 대선 출마 자격 얻었다는 이준석, 현재 상황

    오피니언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