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188km/h 질주’.. 또 터진 국산 전기차 급발진 의심 사고, 결국에는요

문동수 기자 조회수  

대구에서 일어난 택시 사고
택시 기사는 급발진 주장해
전기차 급발진, 정말 안전할까?

자동차 급발진은 차량이 운전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스로틀과 액셀러레이터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던 옛날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던 문제였지만, 전자식 액셀러레이터로 바뀌면서 급발진 문제가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더군다나 전기차는 초반 토크가 좋고, 모터에서 바퀴로 전달되는 힘의 손실이 거의 없기 때문에 급발진 사고 시 더 피해가 크다. 대구 시내를 달리던 한 전기 택시도 급발진에 휘말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TV’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TV’

최고시속 188km/h로 내달린 택시
탑승자 모두 심하게 다쳤다

지난 25일 유튜브 한문철 TV에는 ‘시속 188km/h로 대구 시내를 내 달린 미친 택시’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자정이 지난 무렵 대구 시내를 달리던 한 택시가 갑자기 달려온 불법유턴 차량에 받힌 후 이 충격으로 전자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급가속을 시작했다.

이에 택시는 최고 시속 188km/h로 거리를 내달렸고, 결국 앞 차를 들이받고 전복되었다.
이 사고로 택시 기사는 갈비뼈가 부러지고 뇌진탕 진단을 받았으며 승객 역시 전치 12주 진단을 받았을 정도로 심하게 다쳤다. 37년 경력의 베테랑 택시 기사는 이 사고의 트라우마로 일을 그만뒀다고 한다.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TV’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TV’

택시기사와 승객은 급발진 주장
변호사 한문철은 이렇게 말했다

사고 당시 차주인 택시 기사는 차량을 멈추려고 브레이크를 밟았으나 듣지 않았고, 시동도 꺼지지 않았다라며 택시 승객과 기사 모두 급발진을 주장했다. 이 사고로 차량은 폐차되었는데, 전기차이기 때문에 국가에서 받은 보조금까지 모두 토해내야 하는 억울한 상황이라고 한다.

현재 차량의 EDR (운행기록장치)는 정밀 분석을 위해 국과수에 보내진 상태이다. 이 사건에 대해 한문철 변호사는 “EDR 기록은 소용이 없고, 페달을 비추는 블랙박스가 있어야 급발진이 인정될 수 있는 게 현실”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해당 사고의 택시기사는 몇 년 전 페달 블랙박스를 달 기회가 있었지만 비용이 부담되어 달지 않았다고 한다.

사진 출처 = 남차카페 ‘서울||997S’
사진 출처 = ‘보배드림’

사고 차량은 아이오닉 5
네티즌들은 의견 나뉘어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차량은 현대차의 아이오닉 5로 밝혀졌다. 아이오닉 5는 EV6와 함께 전기택시로 많이 보급된 차종인데, 지난 11월에도 경기 용인시에서 60대 운전자가 몰던 아이오닉 5 택시가 상가 건물 안으로 돌진하는 사고가 일어난 적이 있다.

이 사고를 접한 네티즌들은 “저 긴 시간동안 악셀 밟고 있다는 게 말이 안된다” “현기차는 목숨 걸고 타는 차” “내가 저런 상황에 처한다면 얼마나 잘 대처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등 급발진이라는 의견과 “이번에도 고령 운전자냐” “60세 이상은 택시 못하게 해야 함” “왜 급발진은 운전경력 몇십 년 된 노인들한테서만 나오는지 궁금하다”등 택시 기사의 운전 미숙을 의심하는 두 갈래의 의견으로 나뉘었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문동수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사건사고] 랭킹 뉴스

  • "못 살겠다 진짜" 연봉 격차에 중소기업 근로자 한숨만 '푹'
  • ‘대기업’ 최초 사례라는 오명 쓴 한화오션...현재 상황 심각합니다
  • 부도난 '대우그룹' 본부장이 사들인 김우중의 차명 계열사...지금은?
    부도난 '대우그룹' 본부장이 사들인 김우중의 차명 계열사...지금은?
  • "돈 제발 찾아가세요" 서울 지하철 습득 현금 액수 '깜짝'
  • 불법 파견 수사 논란에 구설 휘말린 정몽규...‘숙원 사업’ 진행 상태 봤더니
  • "나도 여기서 사려했는데..." 사기 증가하는 쇼핑몰, 소비자는 '아뿔싸'

추천 뉴스

  • 1
    부도난 '대우그룹' 본부장이 사들인 김우중의 차명 계열사...지금은?

    사건사고 

    부도난 '대우그룹' 본부장이 사들인 김우중의 차명 계열사...지금은?
  • 2
    “59년 만에 1조 달러 달성 쾌거…이곳 덕분이었죠”

    국제 

    “59년 만에 1조 달러 달성 쾌거…이곳 덕분이었죠”
  • 3
    "누가 이력서를 읽어?” 2025 채용시장에 등장한 방식, 바로?

    오피니언 

    "누가 이력서를 읽을까? 2025 채용시장에 등장한 방식"
  • 4
    "시험 응시자 수 8년 만에 최저” 줄폐업 이어지고 있다는 업계 현황

    기획특집 

    “시험 응시자 수 8년 만에 최저” 줄폐업 이어지고 있다는 업계 현황
  • 5
    "돈 제발 찾아가세요" 서울 지하철 습득 현금 액수 '깜짝'

    사건사고 

지금 뜨는 뉴스

  • 1
    “엔비디아 수준 절반 넘어“ 관련주 폭등의 원인, 이거였다

    국제 

  • 2
    "연기로 돈 못 벌죠"...왕 역할 전문 아역 배우 근황에 ‘깜짝’

    기획특집 

  • 3
    "이대로는 못 버텨" 늘어나는 업무에 곡소리 나온다는 직업, 바로..

    국제 

  • 4
    불법 파견 수사 논란에 구설 휘말린 정몽규...‘숙원 사업’ 진행 상태 봤더니

    사건사고 

  • 5
    이병철이 삼성전자보다 '제일제당'을 먼저 만든 '현실' 이유

    오피니언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