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먹고 살기 힘들어요” 대구에서 곡소리 난다는 ‘이 업종’

윤미진 기자 조회수  

택시 공급 과잉 광역시 중 최고
택시 강제 휴무제 우선 추진
개인, 법인 택시 간 이해관계 충돌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대구시가 지난달 발표한 ‘제5차 대구시 택시 총량 산정 결과’에 따르면, 현재 대구 지역에는 택시가 1만 5,703대가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만 257대인 대구의 적정 택시 총량에 비하면 5,446대가 과잉 공급되고 있는 셈이다. 이는 비율로 나타내면 34.7%에 해당하는 수다.

이는 지난 ‘제4차 총량제 용역 결과'(2020년)에 비해서도 과잉 비율이 1.0% 늘어난 결과다. 당시 과잉 비율은 33.7%로 2위인 서울(22.5%)과도 11.2%의 차이가 났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택시총량제 조사는 1년간 택시 운행 정보를 분석해 지역에 적정 택시 총량을 산정한다. 현재 대구시의 과잉 비율은 7대 특별·광역시 중 가장 높다. 앞서 시는 지난 3차 총량제 용역 결과 도출된 택시 과잉 공급 해소 방안 중 하나로 감차 사업을 내놨지만, 2021년 중단했다.

당시 시에서는 8년 동안 택시 3천402대를 감차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정책 실효성이 떨어지면서 실제 도로에서 시민들이 체감하는 감차 효과가 미미했기 때문이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6년 동안 총 192억 원을 들여 1,248대를 감차했지만, 이 중 1,230대가 휴업 중이던 법인 택시였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에 대구시에서는 2022년 11월 전면 해제됐던 ‘택시 부제’를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2022년 기준 택시 부제는 법인 택시 6부제, 개인택시 3부제로 시행되고 있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에서 2022년 11월 사회적 거리 두기 이후 심야 택시 승차난이 심각하다는 이유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택시 부제를 해제했다.

이에 대해 법인 택시 업계에서는 부제를 다시 시행할 것을 대구광역시에 건의했다. 한 관계자는 “국토부가 정한 택시 부제 해제 요건에 전혀 해당하지 않는다”라며 “약 5,500여 대가 과잉 공급된 상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현재 대구는 시내버스·도시철도가 갈수록 발전되고 있어 택시 수요는 점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부제를 재도입해서 운행 대수를 줄여야 한다. 그것이 결국 택시 업계 전체를 살리는 일”이라고 의견을 전했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다만, 부제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합의점을 찾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로 떠오른다. 대구시는 2023년부터 매년 재도입 건의를 해왔지만, 국토교통부는 개인택시와 법인 택시 업계 간 엇갈리는 이견을 조율할 필요가 있다고 답변해 왔다.

택시 부제는 법인·개인택시 간 갈등 사안이어서 합의가 어려운 사항이다. 법인택시업계는 경영난 해소책으로 택시 부제를 건의하고 있지만, 면허 자체가 자산인 개인택시 업계는 이미 자율 휴무제도 시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택시 부제 시행은 ‘재산권 침해’라며 반발하는 상황으로 알려졌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특히 전체 택시의 40%에 이르는 전기차는 부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조합원 간 형평성에도 맞지 않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한 관계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5차 택시 총량제 용역 결과에 따라 택시 조합 간 원만한 합의를 통해 부제 부활 등 공급을 조절할 방안을 검토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택시 부제를 반대하고 있는 개인택시 측은 감차 사업을 재추진한다면 협조하겠다는 의사를 보이기도 했다. 한 개인택시 종사자는 “폐지됐던 부제를 부활시키는 방안은 고민조차 해보지 않았다”라면서도 “감차 사업의 경우 이해관계만 잘 정리된다면 협조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라고 말했다.

author-img
윤미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기획특집] 랭킹 뉴스

  • 샤이니 민호가 산 '하정우 고급 주택' 금액만 무려...
  • “교실부터 청와대까지" 졸업사진이 사라지는 뜻밖의 이유
  • 매출 4조 원 기록한 다이소의 효자 사업, 이거였다
  • "홍라희 1466억 2위" 지난해 대기업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 '미아리 텍사스촌' 사라지는데 웃지 못하는 사람들
  • ‘폭싹’ 잡으러 왔수다...넷플릭스 공개되자마자 1위한 한국 드라마

추천 뉴스

  • 1
    "홍라희 1466억 2위" 지난해 대기업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기획특집 

  • 2
    '미아리 텍사스촌' 사라지는데 웃지 못하는 사람들

    기획특집 

  • 3
    ‘강제추행 피해자 무고 혐의’ 오태완 군수 1심 결과 나왔다

    사건사고 

  • 4
    "이재명이 안 됐으면 좋겠지만..." 보수의 심장 대구, 민심 변하고 있다

    오피니언 

  • 5
    각종 논란 터졌던 백종원, 더본코리아 결국 입장 밝혔다

    사건사고 

지금 뜨는 뉴스

  • 1
    ‘폭싹’ 잡으러 왔수다...넷플릭스 공개되자마자 1위한 한국 드라마

    기획특집 

  • 2
    '슈퍼스타'가 되고 싶었던 재벌, 철강으로 망하다

    오피니언 

  • 3
    활주로에서 비행기 비상문 열어버린 30대 여성, 이유 알고 보니...

    사건사고 

  • 4
    “땅값만 2조” 강남 한복판의 ‘금싸라기’ 땅, 방치되고 있는 이유

    기획특집 

  • 5
    “65세는 너무 빨라요" 한국인이 생각하는 진짜 노인 나이, 몇 살일까?

    기획특집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