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12·3 계엄 선포로 내란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를 하루 앞두고 서울 도심 곳곳에서 탄핵 찬반 집회가 열리며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경찰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이날 오전 9시부터 경찰청과 서울경찰청에 ‘을호비상’을, 이외 지방경찰청에는 ‘병호비상’을 발령한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에 따르면 을호비상은 경찰 비상근무 체계 중 두 번째로 높은 단계로, 가용 경력의 50% 이내에서 동원할 수 있고 병호비상은 한 단계 낮은 수준으로, 가용 경력 30% 이내에서 운용되는 근무 체제다.
이어 경찰은 “헌법재판소를 비롯한 주요 시설 주변에 경력을 집중적으로 배치하고, 헌재 반경 150m 이내를 통제하는 등 ‘진공상태’를 유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이날 헌재 앞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시민단체 ‘윤석열 즉각 퇴진·사회 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이 오후 7시 안국역 6번 출구에서 ‘끝장 대회’ 집회를 진행할 것으로 예고됐다.
특히 참가자들은 경복궁 동십자각을 거쳐 헌재까지 행진한 뒤 철야농성에 돌입하며, 다음 날 선고를 함께 지켜볼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시각 강남역에서도 대검찰청 방향으로 행진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에 맞서 자유통일당 등 보수 성향 단체들은 이날 오후 1시 종로구 천도교 수운회관 앞, 오후 2시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 볼보빌딩 앞, 저녁 8시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집회를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심지어 일부 단체는 전날부터 철야농성을 시작했으며, 4일 선고 당일까지 집회를 지속할 계획으로 확인됐다.
즉, 윤석열 대통령의 찬반 집회를 진행하는 이들이 철야 농성을 이어가며 맞서고 있다. 이 때문에 경찰은 헌재 앞 인도에서 릴레이 시위를 해온 국민의힘 의원들과 단식 시위 중인 윤 대통령 지지자 수십 명에 퇴거 요철을 전하기도 했다.
경찰은 현재 선고 당일 최고 단계 비상근무 체제인 ‘갑호 비상’이 전국에 발령할 전망이다. 세부적으로 전국 210개 기동대 약 1만 4,000여 명을 비롯해 형사기동대, 대화 경찰, 경찰 특공대 30여 명을 투입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다. 이어 국회, 한남동 관저, 용산 대통령실, 외국 대사관, 국무총리공관, 주요 언론사 등에도 기동대를 배치할 계획이다.
한편, 경찰과 당국은 선고일을 하루 앞두고 탄핵 찬반 집회가 이어지면서 교통 통제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는 4일 오전 6시부터 안국역 사거리를 중심으로 북쪽 율곡로(안국역→창덕궁 방향)와 서쪽 종로(안국역→광화문 방향) 일부 구간이 전면 통제하는 것이다. 이어 탄핵 심판 선고 후 상황에 따라 통제는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