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 ‘뭐랭하맨’
‘폭싹 속았수다’ 리뷰 영상 수익
“343만 원 4·3 사건 희생자에 기부할 것“

최근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가 흥행하면서 해당 영상을 보고 리뷰하는 유튜버가 많아졌다. 유튜버 ‘뭐랭하맨’은 ‘폭싹 속았수다’ 리뷰 영상으로 벌어들인 수익금 전액을 제주 4·3 사건 희생자들에게 기부한다고 밝혀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다.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 방언에서 ‘수고 많으셨습니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제목을 정한 드라마다. 해당 드라마는 주인공 애순과 관식의 일생을 중심으로, 임상춘 작가 특유의 ‘더불어 살아가는 이야기’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전 세대의 공감을 받으며 큰 사랑을 받은 것이다. 드라마가 흥행하자 이를 리뷰하면서 영상을 만드는 이들도 많아졌다. 지난 29일 35만 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뭐랭하맨’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 영상에서 ‘폭싹 속았수다’ 리뷰 영상으로 343만 원의 수익을 얻었다고 전했다.
그는 “이 돈을 어떻게 쓸지 고민을 많이 했다”라며 “4월 3일이 제주 4·3 사건이다. 4·3 사건에 대해 많은 분들이 알고 관심을 갖고 계시지만, 아직도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거 같다”라고 언급했다.
해당 영상에서 뭐랭하맨은 4·3 평화재단에 이체한 금융 거래 내역을 시청자들에게 보여주면서 수익금 343만 원에 사비 150만 원을 보태 총 500만 원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그는 “제주도라는 섬이 외적으로 보이는 이미지는 안 좋은 이미지도 많지만, 사실 이 안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삶은 정말 고단한 사람들이 굉장히 많았다“라고 말하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또한 뭐랭하맨은 “제가 이 기부한 금액이 4·3 유가족분들 그때 당시의 모든 분에게 잘 쓰였으면 좋겠고, 더 많은 분이 4·3 사건에 관해 관심을 두고 제주도를 더 사랑해 주셨으면 좋겠다”라고 덧붙였다.

제주4·3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 사건을 계기로 촉발되어 경찰과 서북청년단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단정 반대를 내세운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1948년 4월 3일 봉기하면서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이후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 충돌,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된 비극적인 사건이다.
한편, 3월 초 ‘폭싹 속았수다’의 1막이 공개되자 많은 시청자에게 사랑을 받았다. 공개 다음 날인 3월 8일 넷플릭스 전 세계 8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곧바로 1위를 차지했으며 홍콩과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에서도 1위를 기록했다.
한국갤럽 기준 3월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방송영상 프로그램 1위에 올랐을 뿐만 아니라 굿데이터코퍼레이션 기준 3주 연속 OTT·TV 화제성 부문 1위를 차지하는 성과를 보이기도 했다. 이는 OTT 드라마 중 역대 다섯 번째 갤럽 조사 1위이며, ‘더 글로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3막 공개 후에는 550만 시청수(시청시간을 작품의 총 러닝타임으로 나눈 값)를 달성하며 넷플릭스 TOP 10시리즈 비영어 부문 1위를 기록했다. 이러한 ‘폭싹 속았수다’ 열풍은 한국을 넘어 글로벌에서도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외에 브라질, 콜롬비아, 베트남, 대만, 터키 등 42개 국가에서도 TOP10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해당 드라마는 공개 3일 차인 이달 9일에는 넷플릭스 전 세계 6위로 올라왔다. 이후 14일 전 세계 5위, 22일 전 세계 4위, 30일 전 세계 2위로 순위권이 꾸준히 상승했다. 30일에는 시간당 조회수 6,500만을 달성하며 큰 인기를 자랑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