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서른이면 얼마나 모아야할까?”…평균 자산 통계 살펴보니

한하율 기자 조회수  

30대 저축 콘텐츠 인기
평균 순자산 약 2억 원
통계 허점 주의해야 해

"서른이면 얼마나 모아야할까?"...평균 자산 통계 살펴보니
출처: tvN

최근 온라인상에서는 나이대별로 ‘얼마를 모아야 적당할까’라는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해당 주제에 대한 영상을 올리지만 그중 가장 인기 있는 주제는 ‘서른 살이면 얼마나 모아야 할까’다. 한국 사회에서 서른 살은 방황하던 20대를 마무리 짓고 결혼, 부동산 투자 등 인생을 좌우할 선택을 하는 중요한 시점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으로 나이대별 평균 자산 통계에 이목이 쏠리는 상황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타인과 비교를 종용한다는 의견과 평균값이 아닌 중앙값을 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한다.

"서른이면 얼마나 모아야할까?"...평균 자산 통계 살펴보니
출처: 뉴스1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30~39세 순자산은 2억 7,300만 원이었고, 평균 순자산은 2억 3,678만 원으로 집계됐다. 29세 이하의 경우 순자산은 9,954만 원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순자산은 전체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이다. 통계를 보면 30대가 되기 전 약 1억 원 수준의 순자산을 모아야 평균값에 가까워진다는 것이다.

"서른이면 얼마나 모아야할까?"...평균 자산 통계 살펴보니
출처: 뉴스1

30살을 앞둔 29세 이하의 순자산에서 부채를 더한 평균 자산은 총 1억 4,662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들이 보유한 자산은 전·월세 보증금 5,634만 원, 저축액 3,073만 원, 부동산 4,764만 원, 기타 1,191만 원으로 집계됐다.

평균 부채는 총 4,708만 원으로, 이 중 담보대출이 3,427만 원으로 가장 높게 집계됐다. 이어 신용대출 747만 원, 기타 외상 및 할부가 102만 원으로 뒤를 이었다. 평균 자산 1억 4,662만 원에서 평균 부채 4,708만 원을 뺀 9,954만 원이 29세 이하의 순자산으로 집계된 것이다.

"서른이면 얼마나 모아야할까?"...평균 자산 통계 살펴보니
출처: IBK기업은행

하지만 일각에서는 평균보다 중앙값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즉 통계의 허점을 주의하란 것이다. 중앙값이란 표본을 일렬로 세웠을 때 한가운데 있는 수치다.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9세 이하 순자산은 9,954만 원으로 나왔지만, 중앙값으로 봤을 경우 4,5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즉 서른 살이 되기 전 중간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4,500만 원 이상을 모아야 하는 셈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타인과의 비교에 의한 자산 증식보다는 자신의 뚜렷한 목표를 두고 저축 및 투자를 지향할 것을 강조했다.

"서른이면 얼마나 모아야할까?"...평균 자산 통계 살펴보니
출처: 뉴스1

한편 통계청은 근로자 평균 소득을 공개하기도 했다. 올해 2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임금 근로 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근로자 평균 소득은 353만 원으로 집계됐으며, 중위소득은 267만 원으로 나타났다.

30대 초반(30~34세)의 경우 평균소득 351만 원이었으며, 중위소득은 315만 원으로 집계됐다. 30대 중후반(35~39세)의 경우 평균소득은 409만 원 중위소득은 351만 원으로 확인됐다.

author-img
한하율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기획특집] 랭킹 뉴스

  • ”보수의 심장 · 민주화의 성지 아니죠“ 현시각 윤석열 선고에 가장 떨고 있는 지역
  • "탄핵 1일 앞두고.." 분위기 살벌하다는 헌법재판소 현재 상황
  • "657만 원 내고 1억 수령했다고..?" 국민연금에 분노한 2030 반응
  • 이부진이 작정하고 뛰어들었던 면세점 사업, 현재 실적 살펴보니...
  • “북한에도 밀렸다고?” 국내선 13년째 1위인데 전 세계 평가 최악인 제품
  • 알고보면 뼛속까지 보수였다는 장제원 전 의원 집안 수준

추천 뉴스

  • 1
    “여기서 대출이 된다고?” 전국 2500곳 ‘이곳’, 은행 대신 몰린다

    오피니언 

    “여기서 대출이 된다고?”... 전국 2500곳 ‘이곳’, 은행 대신 몰린다
  • 2
    ”보수의 심장 · 민주화의 성지 아니죠“ 현시각 윤석열 선고에 가장 떨고 있는 지역

    기획특집 

  • 3
    "정말 대통령으로서...“ 트럼프 최측근이 평가한 윤석열, 내용보니..

    국제 

  • 4
    윤석열이 만약 탄핵된다면...대한민국의 앞날은 이렇게 달라집니다

    오피니언 

  • 5
    "탄핵 1일 앞두고.." 분위기 살벌하다는 헌법재판소 현재 상황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가격으로 따지면 1조 넘어" 초대형 규모의 마약 발견된 강릉, 살펴보니..

    사건사고 

  • 2
    8년 전 20만 명 모였던 광화문 일대, 올해는 얼마나 모이냐면...

    오피니언 

  • 3
    “또 日에 밀렸다” 트럼프가 한국보다 일본 관세를 낮춘 현실 이유

    국제 

  • 4
    세월호 유족이 추모 행사에 매년 불참한 윤석열 향해 전한 말

    사건사고 

  • 5
    "대만 포위당해.." 트럼프, '한국 압박 가능성' 충격적인 전망 나왔다

    국제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