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김건희 여사 혐의 ‘김영란법’…법 만든 김영란은 현재 이렇게 지내죠

윤미진 기자 조회수  

청탁금지법 이슈에 김영란 조명
최초 여성 대법관 출신
권익위원장 시절 법률안 발의

출처 : 서울의 소리

최근 검찰은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의혹 사건 전담팀을 꾸리고 수사에 착수했다.

만약 김 여사가 받은 명품가방과 윤 대통령의 직무 사이 관련성이 인정된다면 여사는 김영란법이라 불리는 청탁금지법 위반에 해당한다. 청탁금지법 제8조 제2항은 공직자 등이 직무관련성이 있으면 대가성 여부를 불문하고 한 푼도 받아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영부인 처벌 여부가 청탁금지법에 달려있어 이 법안을 만든 김영란이 조명되고 있다.

출처 : 대한민국 법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 후 사업연수원 11기로 판사가 된 김영란은 2004년 대법관에 올랐다. 한국 최초의 여성대법관으로 임명돼 법조계와 여성계에 한 획을 그었다.

2010년에 대법관 자리에서 물러난 후 이듬해 제3대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으로 취임했다.

그리고 2012년, ‘김영란법’으로 일컬어지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을 발의했다.

2010년 ‘스폰서 검사’ 사건과 2011년 ‘벤츠 여검사’ 사건을 기반으로 탄생했다. 당시 검사들은 외제차 같은 고가의 금품을 받아 놓고도 ‘직무 관련성이나 대가성이 없다’는 이유로 혐의를 일부 벗거나 무죄를 받았기 때문이다.

출처 : KBS뉴스

발의만으로 사회 전반에 파장을 일으켰다.

최초 법률안은 주로 고위공무원과 정치인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는데, 이후 협상 과정에서 수많은 수정을 거쳐 대상 범위가 언론인과 사립대학교 교직원을 포괄하게 됐다.

이에 적용 대상이 민간인을 포함했다는 점에서 ‘과잉 입법’, ‘도덕 사찰’이란 지적도 받았다.

사회 각 계층의 팽팽한 의견 충돌 끝에 발의 약 4년 후인 2016년이 되어서야 합헌 결정이 내려져 효력이 적용됐다.

법률안에 발의자나 대표자의 이름을 붙이는 것은 영미식 법조 문화에서 영향을 받아 이후에도 ‘김영란법’으로 불리게 됐다.

출처 : 아주대학교

다만 김영란은 남편인 강지원 변호사가 2012년 18대 대선 후보로 출마하면서 법률안이 시행되기 한참 전에 권익위원장 자리에서 물러났다.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이 그의 사표를 반려했지만, 김영란은 뜻을 굽히지 않고 사퇴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문재인 정부에서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그해 8월 공론화위의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2019년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로 임용되어 현재까지 근무하고 있다. 지난 3월엔 ‘판결 너머 자유 – 분열의 시대, 합의는 가능한가‘라는 신간을 펴냈다.

출처 : 뉴스1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국무회의에서 청탁금지법 한도 완화 필요성을 언급했다.

현재 식사비 한도는 2016년 법 제정 후 줄곧 3만원을 유지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에 대해 “’김영란법 음식값과 선물 한도 규제가 현실에 너무 맞지 않아 개선해달라’는 호소가 있다”고 지적했다.

권익위는 앞서 농축산물 선물 상한을 10만원에서 15만원으로 인상했다. 식사비 한도도 의견 수렴을 거쳐 조정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반년이 흐른 현재까지 관련 소식은 나오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한도 완화 논의는 꾸준히 나오고 있는데, 김영란은 언론인터뷰를 통해 “특정 업종이 피해를 보는 것은 정말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하지만 우리가 청탁을 금지하는 방향으로 가는 게 옳다면 전체적인 방향을 되돌리는 것은 안 된다”고 전한 바 있다.

author-img
윤미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기획특집] 랭킹 뉴스

  • “똘똘한 한 채 앞세우더니...결국 이런 사태가 와버렸습니다”
  • “이재용 아들도 다녔다고...” 슬럼가 이미지 벗고 갭투자 성지된 동네
  • '우유갑 비주얼'로 유명했던 아파트, 현재 얼마나 올랐을까?
  • 국내 최고가 수준 초고급 펜트하우스에 있다는 비밀 공간의 정체
  • “워크아웃 1호” 재계 21위 올랐던 대기업이 한순간에 몰락한 이유
  • "10년 기다렸는데…" 서울시가 막았다는 정몽구 회장의 꿈

추천 뉴스

  • 1
    “똘똘한 한 채 앞세우더니...결국 이런 사태가 와버렸습니다”

    기획특집 

  • 2
    "시장 점유율 고작 0.6%인데..." 야놀자가 ‘전 세계’ 뒤흔든 방법

    국제 

  • 3
    “이재용 아들도 다녔다고...” 슬럼가 이미지 벗고 갭투자 성지된 동네

    기획특집 

  • 4
    "카드 수수료 낮췄더니...누군 웃고, 누군 울었다"

    오피니언 

  • 5
    "같은 중국 시장인데... 애플은 줄이고, 테슬라는 키운다" 진짜 이유는?

    Uncategorized 

지금 뜨는 뉴스

  • 1
    "인구 10만도 안돼" 조선 최대 도시, 이렇게 쇠퇴했습니다

    오피니언 

  • 2
    "신규 금액 5조 달성" 불안한 정세에도 투자 쏟아졌다는 업계

    오피니언 

  • 3
    "아이폰이 333만 원?" 트럼프 관세 폭탄 맞은 애플 상황 심각하다

    국제 

  • 4
    "한국은 끝났다" 2,380만 유튜버가 섬뜩한 경고 날린 이유

    국제 

  • 5
    "거부반응도 없었다"... 사람에게 돼지 간 넣자 생긴 일

    국제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