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재벌家 며느리였던 임세령이 올해 받은 연봉 수준, 의외였다

서윤지 기자 조회수  

대상그룹 임세령 부회장
상반기 보수 5억 원 수준
지난해 대비 16% 감소해

재벌家 며느리였던 임세령이 올해 받은 연봉 수준, 의외였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임세령 대상 부회장/= 온라인커뮤니티

재벌가 며느리였던 대상그룹 임세령 부회장이 올해 상반기 연봉으로 약 5억 1,500만 원을 수령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세령 부회장은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과 결혼한 이후 지난 2009년 이혼한 뒤 경영에 뛰어들었다. 대상그룹은 미원, 청정원 등을 보유한 국내 대표 식품기업이다.

올해 대상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임세령 부회장은 상반기 상여 없이 급여만 5억 1,500만 원을 수령했다. 이는 지난해(2023년) 같은 기간 6억 1,800만 원을 받은 것과 비교하여 16.7% 감소한 수준이다.

재벌家 며느리였던 임세령이 올해 받은 연봉 수준, 의외였다
출처: 대상 제공

이에 대해 대상은 “이사회 승인을 받은 ‘임원보수관리규정’에 따라 연간 급여 총액 10억 원을 책정했으며, 이를 12분할 하여 매월 지급했다”라며 “직책역할급으로 매월 250만 원을 지급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업계는 대상이 올해 임세령 부회장에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은 것을 주목했다. 지난해(2023년도)에도 대상그룹의 대상홀딩스는 최고경영진에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업계는 대상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식품기업 대상의 부진한 실적에 따른 것으로 해석했다.

재벌家 며느리였던 임세령이 올해 받은 연봉 수준, 의외였다
대상 임창욱 회장/= SBS

대상홀딩스가 제출한 ‘2023년도 사업보고서’를 보면, 지난해(2023년) 임창욱 대표이사 회장과 박현주 부회장, 최성수 대표이사 등은 모두 대상홀딩스에서 상여를 받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현주 부회장은 임창욱 회장의 아내로 급여만 12억 원을 수령했으며, 최성수 대표도 급여로만 5억 8,000만 원을 받았다.

대상홀딩스 최고 경영진이 상여를 전혀 받지 못한 것은 지난 2016년 이후 7년 만이다. 앞서 2017년부터 2022년까지는 임창욱 회장과 박현주 부회장을 비롯해 대표를 맡았던 인물에게 대상은 급여의 5%~15% 수준을 성과급으로 지급했다.

재벌家 며느리였던 임세령이 올해 받은 연봉 수준, 의외였다
출처: 뉴스1

특히 상여가 가장 많았던 2020년에는 집단성과급 명목으로 연봉의 15%가 지급되었으며, 장기인센티브 명목으로 연봉의 54.7%가 상여에 포함됐다. 즉 연봉의 70%가량에 해당하는 금액이 상여로 지급된 셈이다.

하지만 지난해 대상홀딩스 최고 경영진의 상여가 나오지 않은 것은 대상그룹의 ‘현금창출원’이라고 할 수 있는 대상의 상황이 썩 좋지 못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2023년 연결 기준 대상은 매출 4조 1,075억 원, 영업이익 1,237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0.5%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1.6% 줄어들었다. 

재벌家 며느리였던 임세령이 올해 받은 연봉 수준, 의외였다
출처: 대상 제공

대상의 부진으로 대상그룹 오너3세인 임세령 부회장과 동생 임선민 부사장 자매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두 인물 모두 대상에서 경영수업을 받고 있는데, 회사의 부진이 장기화하면 이들에게 책임을 돌리는 시선이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임세령 부회장은 2012년 말 대상 식품사업전략담당 상무에 선임되면서 본격적으로 대상그룹 경영에 참여했다. 이후 지난 2021년 대상그룹 부회장으로 승진했고, 현재 대상홀딩스 부회장도 역임 중이다.

임상민 부사장은 언니 임세령 부회장보다 먼저 대상그룹에서 경험을 쌓았다. 임상민 부사장은 지난 2009년 대상그룹 전략기획팀 차장으로 입사한 뒤 2012년 부장, 2014년 상무, 2016년 전무를 거쳐 2023년 3월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현재 임상민 부사장은 대상의 전략 담당 중역을 맡고 있으며, 글로벌 진출을 비롯해 사업구조 재편 등에 나서 활동하고 있다.

author-img
서윤지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1

300

댓글1

  • 이정재를 광고 모델로 쓰면 매출 뛸거 같은디여~

[기획특집] 랭킹 뉴스

  • 묵언수행 끝낸 ‘보수 잠룡들’ 시장직까지 버리고 출마 선언한 이유
  • “똘똘한 한 채 앞세우더니...결국 이런 사태가 와버렸습니다”
  • “이재용 아들도 다녔다고...” 슬럼가 이미지 벗고 갭투자 성지된 동네
  • '우유갑 비주얼'로 유명했던 아파트, 현재 얼마나 올랐을까?
  • 국내 최고가 수준 초고급 펜트하우스에 있다는 비밀 공간의 정체
  • “워크아웃 1호” 재계 21위 올랐던 대기업이 한순간에 몰락한 이유

추천 뉴스

  • 1
    “똘똘한 한 채 앞세우더니...결국 이런 사태가 와버렸습니다”

    기획특집 

  • 2
    "시장 점유율 고작 0.6%인데..." 야놀자가 ‘전 세계’ 뒤흔든 방법

    국제 

  • 3
    “이재용 아들도 다녔다고...” 슬럼가 이미지 벗고 갭투자 성지된 동네

    기획특집 

  • 4
    "카드 수수료 낮췄더니...누군 웃고, 누군 울었다"

    오피니언 

  • 5
    "같은 중국 시장인데... 애플은 줄이고, 테슬라는 키운다" 진짜 이유는?

    Uncategorized 

지금 뜨는 뉴스

  • 1
    "인구 10만도 안돼" 조선 최대 도시, 이렇게 쇠퇴했습니다

    오피니언 

  • 2
    "신규 금액 5조 달성" 불안한 정세에도 투자 쏟아졌다는 업계

    오피니언 

  • 3
    "아이폰이 333만 원?" 트럼프 관세 폭탄 맞은 애플 상황 심각하다

    국제 

  • 4
    "한국은 끝났다" 2,380만 유튜버가 섬뜩한 경고 날린 이유

    국제 

  • 5
    "거부반응도 없었다"... 사람에게 돼지 간 넣자 생긴 일

    국제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