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모르면 낭패 본다’.. 운전자들 잘 모르는 과태료, 범칙금 차이점은?

조용현 기자 조회수  

자동차 과태료, 범칙금
비슷한 듯 다른 두 가지
의외의 차이점이 존재한다고?

과태료-범칙금

운전자라면 자동차 과태료 고지서를 보고 한 번쯤 고민에 빠진 적이 있을 것이다. 베테랑 운전자 중에서도 고지서에 왜 금액이 다른 2개의 벌금이 적혀있는지, 그리고 둘 중 어떤 것을 내야 하는지 잘 모르고 있는 경우가 꽤 많다고.

과태료와 범칙금, 이 둘은 비슷한 듯 보이지만 큰 차이가 있다.
또한, 과태료를 납부할 때 상대적으로 저렴한 범칙금으로 전환하여 납부를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렇게 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있다고 한다. 과태료, 범칙금의 차이와 과태료를 범칙금으로 전환하여 납부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과태료-범칙금
사진 출처 = ‘뉴스1’
과태료-범칙금
사진 출처 = ‘뉴스1’

차량 명의자 책임 ▶ 과태료
차량 운전자 책임 ▶ 범칙금

일반적으로 과태료는 중대한 범죄는 아니지만 사회 질서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해 내려지는 가장 가벼운 처벌이다. 벌점이나 전과 기록은 남지 않고, 교통 법규 위반에 대한 증거는 있지만 운전자가 누구인지 확인되지 않아 범칙금을 부과할 수 없는 경우에 과태료가 부과된다. 운전자가 누구인 지와 관계없이 차량 명의자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 과태료의 특징이다.

도로에서 경찰관에 의해 교통 법규 위반에 대해 단속을 받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현장에서 운전자의 면허증을 확인하고 발부하는 것이 바로 범칙금이다. ‘범’자가 들어가 있듯이 이는 범죄에 준하는 행위를 하기는 했으나, 형 집행까지는 가지 않으며 금전을 지자체나 국고에 납부하는 처분을 받는 것이다. 차량을 운전한 운전자에게 부과되는 것이기 때문에 차량 명의자가 아닌 운전자에게 책임을 묻는다. 또한, 범칙금과 함께 벌점이 부과될 수 있다.

사진 출처 = ‘뉴스1’

보통은 범칙금이 더 저렴
과태료 범칙금 전환 방법

고지서를 받게 되면 위반 내용과 장소, 시간, 위반 차량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고 그 옆에 과태료와 범칙금 모두에 대한 안내가 적혀 있다. 즉,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내면 되는 것이다. 둘 중에 당연히 더 저렴한 범칙금을 내는 것이 이득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 많은 사람들이 과태료를 범칙금으로 전환하여 납부하고 있다.

과태료를 범칙금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경찰청 교통민원 24시 사이트에 접속하여 ‘최근 단속 내역’ 메뉴를 클릭한 후 ‘범칙금 전환’ 버튼을 누르면 된다. 다음으로 ‘미납한 범칙금’ 메뉴를 클릭하여 내역을 확인한 후 지급하면 완료된다.

사진 출처 = ‘뉴스1’
사진 출처 = ‘뉴스1’

범칙금에 따른 보험료 할증
과태료 미납 시 차량 운행 불가

그러나, 범칙금은 과태료와 다르게 교통 위반 기록이 남게 된다.
범칙금은 벌점이 주어지는 경우도 있어 자동차 보험 가입 시 할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교통 법규 위반에 따른 자동차 할증 비율은 생각보다 높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는데, 위반 횟수가 2~3회일 때는 5% 할증이 붙고, 4회 이상일 때는 10% 할증이 붙게 된다. 조금 더 저렴한 범칙금으로 내려다가 오히려 훨씬 비싼 보험료를 내게 되는 것이다.

과태료 고지서에는 납부 기간이 안내 되어 있다.
해당 일자를 넘길 경우 2차 고지서가 발송되며 그때는 기존 과태료에서 5%의 과태료가 추가된다. 미납 시에는 과태료가 계속 추가되어 월 1.2% 최대 77%까지 인상된다. 그럼에도 계속 납부하지 않아 30만 원이 넘는 금액을 2달 이상 납부하지 않으면 번호판을 영치 당해 해당 차량을 운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전 납부 기간에 과태료를 미리 납부하여 가산금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자동차와 관련된 뜨거운 이슈들
제보는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조용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오피니언] 랭킹 뉴스

  • "친구 자가야, 전세야?" 주거 형태로 차별 생긴다는 현재 상황
  • "금액만 2500억" 대형 은행도 속였다는 20대 CEO, 누구길래?
  • "이재명이 안 됐으면 좋겠지만..." 보수의 심장 대구, 민심 변하고 있다
  • '슈퍼스타'가 되고 싶었던 재벌, 철강으로 망하다
  • “굳이 서울 살 필요 있나" 여의도까지 20분 걸린다는 이 동네, 어디일까?
  • "세계 부자 도시 1위는 뉴욕" 그렇다면 한국 서울은 몇 위?

추천 뉴스

  • 1
    "후보를 내지 않는 게…." 조국혁신당이 '조기 대선' 보이콧한 진짜 이유

    뉴스 

  • 2
    "보수의 텃밭" TK에서 역대급 지지율 기록했다는 이준석 근황

    뉴스 

  • 3
    "너희는 탈 조선해라" 인생 망했다는 이국종, 발언 내용 충격적이다

    뉴스 

  • 4
    “검은돈 거절했다더니..." 이재명, 드디어 돈 받는다

    뉴스 

  • 5
    전한길이 윤석열을 "예수님 같다"라고 표현한 진짜 이유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활주로에서 비행기 비상문 열어버린 30대 여성, 이유 알고 보니...

    사건사고 

  • 2
    "조용히 해 vs 야라니?" 순식간에 싸움판 벌어진 국회 본회의장

    뉴스 

  • 3
    "윤석열 배신했다" 배신자 프레임에 대해 한동훈이 보인 반응

    뉴스 

  • 4
    “총리 코스프레는 하더니” 대정부질문 불참 선언한 한덕수

    뉴스 

  • 5
    나경원이 갑자기 '드럼통'에 들어간 사진 업로드한 이유

    뉴스 

공유하기

1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