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끼리끼리 잘 만났네.. 대환장 중침 사고 발생, 네티즌 뒷목 잡고 난리

조용현 기자 조회수  

중앙선 침범한 두 운전자
결국엔 사고로 이어졌다
누구의 잘못이 더 클까?

역주행-사고-1

15일 유튜브 채널 ‘한문철 TV’에는 서로 중앙선을 침범하다가 난 사고 블랙박스 영상이 올라왔다. 제보자 앞의 차량이 비상등을 키더니 중앙선을 넘었다. 맞은 차선 너머에는 주차장이 있었고, 차량은 그곳으로 진입하기 위해 중앙선을 넘은 것으로 보인다.

낮은 속도로 천천히 횡단하듯 맞은 차선을 가로지르던 차량은 그만 뒤에서 오던 오토바이와 충돌하고 만다. 무리 지은 오토바이가 제보자의 뒤 차량부터 빠른 속도로 추월해 오느라 중앙선을 넘은 채로 달려오고 있었다. 그중 앞선 오토바이와 차량이 사고가 나고 만 것이다.

역주행-사고-2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 TV’
역주행-사고-3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 TV’

발목 수술할 정도로 다쳐
과실 비율은 50대 50?

빠른 속도로 달려오던 오토바이는 차량의 후미 부분을 부딪쳐 몇 바퀴나 나뒹굴었고, 오토바이 운전자는 길가로 내동댕이쳐졌다. 오토바이 운전자는 헬멧과 보호대를 착용했지만, 발목 수술을 할 정도로 크게 다친 것으로 알려졌다.

한문철 변호사는 ‘양쪽 운전자 모두 다른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올 것을 생각하지 않아 벌어진 사고’라고 답했다. 이어 한문철 변호사는 “50대 50 누가 더 잘못했다고 해야 할지 고민스럽다.”, “오토바이는 아까부터 (뒤에 있던 차량을 추월하면서) 오랫동안 넘어왔으니 뒤차 60과 앞차 40을 일반적으로 본다.”라고 답했다.

역주행-사고-4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 TV’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 TV’

과실 비율 인정 못 해
보험사 측 판단은?

차량 운전자는 “양쪽 모두 같은 보험사라 소송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말하며 보험사에서는 차량의 사고 과실을 40, 오토바이의 사고 과실을 60으로 잡았다고 알렸다. 이어 차량 운전자는 자신의 과실을 20%까지 받아들일 의향이 있다며 현재 잡힌 과실이 높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향을 내비쳤다. 한문철 변호사는 “80대20은 멀어 보인다.”며 “분심위(분쟁조정심의위원회)에 가도 차량 40, 오토바이 60이 나올 것이다.”라며 의견을 밝혔다.

이런 사고를 중앙선 침범 사고로 봐야 할지에 대해서는 “중앙선 침범 관련 법규가 있는 것은 정상적으로 진행하는 반대편 차로의 교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둘 다 중앙선을 넘었고 맞은편 차량의 교통에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니 중앙선 침범 사고로 보지는 않을 것 같다.”고 답했다. 하지만 “만약 사망이나 중상의 사고가 되면 처벌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건과 무관한 사진 / 사진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블라인드’
사건과 무관한 사진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 TV’

중앙선 침범 시 벌금은
네티즌들 반응은?

중앙선을 침범해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12대 중과실로, 5년 이내의 금고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사고가 나지 않더라도 범칙금과 벌점이 부과된다. 무인 장치에 의해 단속된 건은 이륜차량 7만 원, 승용차 9만 원, 승합차나 화물차는 10만 원이 각각 부과된다. 교통경찰관에 의해 적발된다면 30점의 벌점과 함께 이륜차량 4만 원, 승용차 6만 원, 승합차나 화물차는 7만 원의 범칙금도 부과된다.  

네티즌들은 “이런 종류의 중앙선 침범 사고는 반드시 50대50으로 하고 둘 다 형사 처벌해야 한다.”, “이런 경우를 환상의 콜라보라고 하는 거다.”, “(차량 운전자는) 중앙선 침범 해놓고 과실 비율을 20%만 주장하는 것은 무슨 경우냐”며 반응을 보였다. 한편 “추월할 때도 앞차가 우선이다.”라며 뒤에서 오던 오토바이의 잘못이 더 크다고 주장하는 네티즌도 있었다.

자동차와 관련된 뜨거운 이슈들
제보는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조용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사건사고] 랭킹 뉴스

  • "대책 없이.." 대통령 관저에서 나가고 싶어 한다는 김건희, 현재 상황
  • 35개월 만에 단명한 윤석열 정부, 3년간 뭘 했냐면...
  • "우리 땐 더 힘들었지“ IMF와 현재 취업난, 청년들은 더 고통받는다
    "우리 땐 더 힘들었지“ IMF와 현재 취업난, 청년들은 더 고통받는다
  • "여기로 돌아오나..." 윤석열이 살았던 아크로비스타 주민들 반응 보니
  • "대한민국을 위해…" 결국 탄핵 결정된 윤석열, 입장 밝혔다
  • 윤석열 파면 결정되자마자 서버 폭발한 카카오톡, 상황

추천 뉴스

  • 1
    “똘똘한 한 채 앞세우더니...결국 이런 사태가 와버렸습니다”

    기획특집 

  • 2
    "시장 점유율 고작 0.6%인데..." 야놀자가 ‘전 세계’ 뒤흔든 방법

    국제 

  • 3
    “이재용 아들도 다녔다고...” 슬럼가 이미지 벗고 갭투자 성지된 동네

    기획특집 

  • 4
    '월급 100원' 받고 일하던 남자가 버스에 전부를 걸면 생기는 일

    뉴스 

  • 5
    "같은 중국 시장인데... 애플은 줄이고, 테슬라는 키운다" 진짜 이유는?

    Uncategorized 

지금 뜨는 뉴스

  • 1
    "한때 200만 유튜버였는데" 밴쯔 반전 근황 전했습니다

    뉴스 

  • 2
    “주식까지 저평가될 판” 중견기업 성장의 발목 잡는 '이것' 정체

    뉴스 

  • 3
    “가장 기형적인 도시로 통하죠” 부자 도시 대구의 민낯 살펴보니...

    뉴스 

  • 4
    "아이폰이 333만 원?" 트럼프 관세 폭탄 맞은 애플 상황 심각하다

    국제 

  • 5
    '아이유 시계'로 유명했던 제이에스티나, 알고 보니 중국산?

    뉴스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