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대기업 절반 억대 연봉” 직원 연봉 격차 가장 많이 나는 회사는?

박신영 기자 조회수  

대기업 절반 이상 연봉 1억 넘어
1억 넘는 대기업 6.1배 증가
CJ제일제당 최고 연봉자, 직원 격차 높아

출처 : CJ제일제당
출처 : CJ제일제당

지난해 매출 100대 기업에서 임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는 기업 수가 절반을 넘어선 가운데 직원 격차 가장 많이 나는 곳은 CJ제일제당인 것으로 확인됐다.

‘1억 원 클럽’ 가입 대기업 수가 고물가 여파로 5년 새 6배 넘게 상승하면서 일각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31일 연합뉴스가 연결 기준 매출 100대 비금융 상장사의 사업보고서를 전수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임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초과한 기업은 총 55개사인 것으로 파악됐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즉, 국내 대기업 절반 이상의 임직원들이 평균 1억 원이 넘는 보수를 수령하고 있다는 뜻이다. 임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이 넘는 ‘1억 원 클럽’에 가입한 매출 100대 기업 수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9개사, 2020년 12개사, 2021년 23개사, 2022년 35개사, 2023년 48개사, 지난해 55개사로 매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1억 원 클럽’에는 현대글로비스(1억 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억 1,800만 원), 삼성전기(1억 300만 원), KT&G(1억700만원) 등 7개사가 새로 명단에 올랐다. 이는 5년 전 2019년 대비 6.1배 상승한 수치다. 이 중 매출 ‘톱10’ 기업은 모두 1억 원 클럽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각 기업의 임직원 평균연봉을 살펴보면 삼성전자 1억 3,000만 원, 현대차 1억 2,400만 원, ㈜SK 1억 1,600만 원, 기아 1억 3,600만 원, LG전자 1억 1,7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 외에 SK이노베이션(1억 5,800만 원), 포스코홀딩스(1억 4,800만 원), HD현대(1억 5,900만 원), SK하이닉스(1억 1,700만 원), 현대모비스(1억 3,500만 원)도 1억 원을 넘는 임직원 보수를 자랑했다.

지난해 국내 주요 대기업의 최고 연봉자와 일반 직원 간 보수 격차는 15배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장 높은 연봉 격차를 기록한 기업은 어디일까?

26일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기준 상위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5억 원 이상 연봉자를 공개한 284개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대기업의 직원 평균 연봉은 인상하고 최고 연봉자 보수는 인하하면서 연봉 격차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조사는 연봉 5억 원 이상을 공개한 인물 중 C레벨에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최고경영자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퇴직금은 제외하고 스톡옵션은 포함하여 진행한 결과다. 여기서 C레벨이란 CEO(최고 경영 책임자), CFO(최고 재무 책임자), CPO(최고 프로덕트 책임자), CMO(최고 마케팅 책임자), CTO(최고 기술 책임자) 등 앞 글자에 우두머리를 달고 있는 조직 내 최상위의 의사 결정권자를 의미한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지난해 각 기업에서 최고 연봉을 받은 임원의 평균은 14억 5,000만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14억 6,900만 원이었던 2023년 대비 1.3% 하락한 수치다. 이에 반해 미등기임원을 제외한 직원 실질 평균 연봉은 9,510만 원으로 전년(9,230만 원)보다 3.0% 상승한 수치를 보였다. 즉, 최고 연봉자와 직원 간 연봉 격차는 15.9배에서 15.3배로 감소한 것이다.

CJ제일제당은 개별 기업 중 최고 연봉자와 일반 직원 사이의 보수 차이가 가장 컸다. 손경식 회장이 81억 7,100만 원을 받을 때 직원들은 실질 평균 연봉 7,702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즉, 최고 연봉자와 일반 직원 사이의 보수가 106.1배 차이 난 것이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어 LS일렉트릭 구자균 회장(71억 4,200만 원)이 직원(8,182만 원) 대비 87.3배 높은 연봉을 수령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60%에 달하는 기업들이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경영에 부담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통상임금 판결 100일을 맞아 진행한 긴급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3.5%가 통상임금 충격이 부담되거나 심각한 경영 위기로 이어진다고 응답한 것으로 파악됐다. 업계에서는 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면서 인건비가 급증해 경영 안정성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고 해석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기상여금 통상임금 포함 후 예상 임금 상승률은 대기업의 경우 55.3%가 ‘5% 이상’이라고 답변했으며, 23.1%는 ‘2.5% 이내’라고 응답했다. 이에 반해 중소기업은 25%가 ‘임금 5% 이상 상승’을 예상했고 43.4%는 ‘2.5% 이내’라고 응답해 대기업보다 임금 인상 폭에 대한 부담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뉴스] 랭킹 뉴스

  • “한덕수 출마 어때?" 진보·보수 반응, 여론조사 결과 의외였다
  • ‘용준형♥’ 현아, 결혼 6개월 만에 좋은 소식 전했다
  • “20살에 사법고시 붙더니…” 김앤장 떠난 변호사가 선택한 의외의 직업
  • “형수 먼저 물어봐” 명태균 물었더니 이재명 향해 독설 날린 홍준표
  • 홍준표 "트럼프는 돈 줬지만 이재명은..." 막말 논란
  • "골치 아프네" 미역 수십 톤 밀려와 골머리 앓는 제주

추천 뉴스

  • 1
    20년 만에 드디어 재건축된다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어떻게 바뀔까?

    기획특집 

  • 2
    "세입자만 약자냐" 정부 가이드라인에 집주인들 분노한 이유

    기획특집 

  • 3
    "마음 편히 살겠다" MZ세대가 아파트 대신 선택한다는 주거 형태

    오피니언 

  • 4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피해 주민들이 요구한 배상금 액수

    사건사고 

  • 5
    OTT 시장 커지면서 변화하고 있다는 PPL, 어떻게 달라졌을까?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삼성전자 팔아버린 외국인 투자자, '이 종목'은 쓸어 담았다

    기획특집 

  • 2
    “포스코·현산 정면으로 붙었다” 서울의 ‘마지막 재개발 대어’라는 지역

    오피니언 

  • 3
    “서울도 아닌데 25평 전세가 10억” 매물이 씨가 말랐다는 지역, 어디일까?

    오피니언 

  • 4
    “일 안 할래요..." 실업급여로 1억 받아간 사람 있었다

    사건사고 

  • 5
    1000만 원으로 시작해 대기업 만들어낸 한국 IT의 대부

    기획특집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