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12억짜리 아파트도 반토막”…’똘똘한 한 채’ 열풍에 눈물짓는 도시들

윤미진 기자 조회수  

지방-서울 양극화 심화
미분양 아파트로 인한 공급 과잉 영향
해운대, 수성구 등 인기 지역도 약세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지난해 서울에 살지 않는 사람이 서울 아파트를 사들인 비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2월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타지역 거주자(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율은 21.5%로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래 연간 기준 역대 최고를 달성했다.

반면 지난해 서울에 사는 사람이 지방 아파트를 사들인 비율은 5.5%로 2023년(5.4%)보다는 소폭 증가했지만 7~8%대에 이르던 예년보다는 낮은 수치에 머물렀다. 부동산 경기의 침체와 지역 악성 미분양 아파트의 증가로 공급이 과잉된 데다, 대출 규제와 다주택자 규제 정책으로 인한 ‘똘똘한 한 채’ 열풍이 불면서 비교적 안전 자산인 서울 주택으로 투자가 집중되는 모양새다.

이 때문에 서울 강남 아파트들 못지않은 가격으로 거래되던 부동산 상급지들도 가격이 급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 중 대표적인 지역이 지방 지역에서 높은 집값을 자랑하던 부산 해운대구와 대구 수성구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우수한 학군과 이국적인 경치를 자랑하는 해운대구는 부산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외지인들에게도 투자처로 인기가 높아 부산 아파트의 가격 상승에 일조해 왔다. 그러나 이 같은 변화로 해운대구의 상황도 달라졌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해운대구는 지난해 말 대비 0.79%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해운대구는 올해 들어 전국에서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내린 지역 9위로 꼽혔다.

해운대구 아파트 가격은 2022년 6월 13일 이후 140주 동안 단 10주를 제외하고 꾸준히 마이너스를 유지했다. 같은 기간 25.09% 하락한 셈이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실제 해운대구의 인기 아파트 중에서는 약 10억 이상 떨어진 아파트도 있다. ‘우동 두산 위브더제니스 전용 168㎡’는 이달 11일 23억 8,000만 원에 거래됐다. 2023년 12월 34억 2,000만 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2년 만에 10억 4,000만 원이 떨어졌다.

해운대구 ‘우동 더샵센텀파크 1차 전용면적 151㎡’도 이달 6일 15억 500만 원에 매매됐다. 이는 과거 신고가였던 2021년 10월 거래가격인 24억 원보다 약 9억 원 하락한 가격이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대구광역시에서 우수한 학군을 자랑하며 ‘대구의 강남’이라는 별칭까지 존재했던 수성구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수성구는 전년 말 대비 0.77% 떨어지며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내린 지역구 10위에 집계됐다.

지난달 10억 8,000만 원에 매매된 ‘수성구 범어동 유림노르웨이숲 전용면적 130㎡’의 과거 최고가는 17억 7,000만 원이었다. 최고가와 최근 매매가를 비교해 보면 약 6억 9,000만 원 하락한 셈이다.

수성구의 대장 아파트로 알려진 ‘범어동 수성범어두산위브더제니스’의 경우도 2억가량 떨어졌다. 이 아파트의 ‘전용면적 137㎡’ 아파트는 이달 15억 7,000만 원에 거래됐다. 이는 2022년 말에 기록한 17억 6,000만 원보다 2억가량 내린 금액이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한 관계자는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서울과 지방 아파트값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면서 전국의 주택 수요가 서울로 집중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또한, “최근 서울 한강 변 고급 아파트를 중심으로 경기도와 지방 투자자들의 유입이 나타나고 있다”라며 덧붙이기도 했다.

실제 지난해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율은 강동구가 27.3%로 가장 높았고, 광진구(25.6%), 은평구(25.3%), 금천구(24.7%), 영등포구(24.0%)가 차례로 그 뒤를 이으며 2006년 이래로 최대를 기록했다. 반면, 서초구(21.2%)와 강남구(21.5%)는 외지인 매입 비율이 전년보다 소폭 감소한 수치가 나타났다.

이는 강남권 및 서초구 아파트값의 급등으로 인한 현상으로 추측된다. 가격 면에서 접근이 가능하고, 한강 변과 인접한 강동구나 광진구의 아파트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뉴스] 랭킹 뉴스

  • 백종원 회사에 70억 지급했다는 군산시, 현재 상황
  • 논란의 중심에 선 백종원, 프랑스에서 발견됐습니다
  • “이혼만 하려고 했는데...” 큰일 났다는 최태원·노소영 현재 상황
  • 5월 1일 전격 사퇴하는 한덕수에 국민의힘이 보인 반응
  • 풍자 나오는 유튜브 채널 '또간집', 영상 영구 삭제한다
  • 흉기 난동 벌인 청주 고등학생, 저수지로 뛰어들었다

추천 뉴스

  • 1
    잠실역 무인창고서 현금 수십억 원 훔친 남성, 결국...

    사건사고 

  • 2
    "위험 절반으로 줄어든대" 대장암 예방에 좋은 ‘이것’, 무엇일까?

    기획특집 

  • 3
    "옆 동은 규제인데 여긴 자유?" 한남더힐·타워팰리스 규제 안 걸린 이유

    기획특집 

  • 4
    '이것' 먹고 고지혈증·동맥경화 예방하세요, 콜레스테롤 막는 과일 6가지

    기획특집 

  • 5
    서울 아파트 거래 4년 8개월 만에 최고인데…이 동네는 '0건'?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한국에서는 아무도 안 먹는데... 일본에서 '국민 음식'이라는 생선

    기획특집 

  • 2
    한국 기업이 줄줄이 바쳤다는 트럼프 취임식 기부금 수준

    뉴스 

  • 3
    절대 물에 씻으면 안 된다는 '이것'...세균 드글드글 '충격'

    뉴스 

  • 4
    "계산하려고 했더니..." 스폰서 물 먹였다는 검사 시절 한동훈 일화

    뉴스 

  • 5
    소방서에서 "장어 144만 원어치 주세요" 주문했는데... 알고 보니

    뉴스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